본문 바로가기
2023.11.24 11:18

‘개덥다’고?

조회 수 159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개덥다’고?

연일 계속되는 폭염으로 많은 사람들이 힘들어하고 있다. 이런 날씨를 일러 젊은이들은 ‘개덥다’고 한다. ‘아주 덥다’는 뜻이다. ‘개(-)’가 널리 쓰이기 시작한 지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2009년 “집 나가면 개고생이다”라는 광고 카피가 크게 인기를 끌었다. 이 카피에서 ‘개고생’은 ‘어려운 일이나 고비가 닥쳐 톡톡히 겪는 고생’을 뜻하는 말인데, 실질적으로는 비속어에 가깝다. 이때의 ‘개-’는 ‘개수작’, ‘개망신’, ‘개지랄’ 등처럼 ‘헛된’, ‘쓸데없는’의 뜻을 더해 주는 말이다. 주로 ‘수작’, ‘망신’, ‘지랄’ 등처럼 부정적인 의미를 갖는 몇몇 말(명사) 앞에 붙는다.

이 광고 이후로 ‘개(-)’라는 말이 유행어가 되었다. ‘개이익’처럼 명사뿐만 아니라 ‘개덥다’, ‘개싫다’, ‘개예쁘다’, ‘개웃기다’ 등처럼 동사, 형용사 앞에도 ‘개’를 붙여 쓰게 되었다. 그런 점에서 이때의 ‘개덥다’의 ‘개’는 ‘개고생’의 ‘개’와는 크게 다르다. 게다가 ‘개고생’의 ‘개’가 주로 부정적인 의미를 갖는 말과 어울리는 데 반해, ‘개덥다’의 ‘개’는 부정적인 의미를 갖는 말뿐만 아니라 긍정적인 의미를 갖는 말과도 어울릴 수 있다. ‘개덥다’의 ‘개’는 현재 유행어로서, 표준어가 아니다.

내 제자들도 스스럼없이 ‘개덥다’, ‘개웃기다’ 등의 ‘개’를 남발한다. 그때마다 불편함을 느낀다. 나에게 ‘개(-)’는 비속어로 여겨질 뿐만 아니라, 다 큰 어른이 아무 때나 이런 유행어를 남발하는 게 부적절하다 생각하기 때문이다. 하여 또 어쩔 수 없이 잔소리를 늘어놓는다.

박용찬 대구대 국어교육과 조교수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53749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200333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5322
    read more
  4. 마녀사냥

    Date2022.01.13 By風文 Views1414
    Read More
  5. ‘~스런’

    Date2023.12.29 By風文 Views1414
    Read More
  6. 인쇄된 기억, 하루아침에

    Date2022.08.12 By風文 Views1415
    Read More
  7. 이름 짓기, ‘쌔우다’

    Date2022.10.24 By風文 Views1417
    Read More
  8. 삼디가 어때서

    Date2022.02.01 By風文 Views1421
    Read More
  9. 통속어 활용법

    Date2022.01.28 By風文 Views1423
    Read More
  10. 사수 / 십이십이

    Date2020.05.17 By風文 Views1425
    Read More
  11.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Date2022.06.26 By風文 Views1426
    Read More
  12. 남과 북의 협력

    Date2022.04.28 By風文 Views1427
    Read More
  13. ‘이’와 ‘히’

    Date2023.05.26 By風文 Views1427
    Read More
  14. 무술과 글쓰기, 아버지의 글쓰기

    Date2022.09.29 By風文 Views1432
    Read More
  15. “힘 빼”, 작은, 하찮은

    Date2022.10.26 By風文 Views1432
    Read More
  16. 지슬

    Date2020.04.29 By風文 Views1433
    Read More
  17. 1.25배속 듣기에 사라진 것들

    Date2023.04.18 By風文 Views1433
    Read More
  18. 영어 공용어화

    Date2022.05.12 By風文 Views1434
    Read More
  19. ‘나이’라는 숫자, 친정 언어

    Date2022.07.07 By風文 Views1435
    Read More
  20. ‘폭팔’과 ‘망말’

    Date2024.01.04 By風文 Views1435
    Read More
  21. 북한의 ‘한글날’

    Date2024.01.06 By風文 Views1435
    Read More
  22. ‘건강한’ 페미니즘, 몸짓의 언어학

    Date2022.09.24 By風文 Views1437
    Read More
  23. 공적인 말하기

    Date2021.12.01 By風文 Views1438
    Read More
  24. 외부인과 내부인

    Date2021.10.31 By風文 Views1439
    Read More
  25. 사투리 쓰는 왕자 / 얽히고설키다

    Date2023.06.27 By風文 Views1441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