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11.15 06:24

후텁지근한

조회 수 152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후텁지근한

말복이 코앞이다. 올해 중복(7월 23일)에서 말복(8월 12일)까지의 간격은 20일로 예년에 비해 열흘 정도 늦게 말복이 오는 셈이다. 중복에서 말복이 달을 넘기는 월복(越伏) 때문인지 더위가 꺾일 줄을 모른다.

중동에서 온 사람에게 그렇게 더운 곳에서 어찌 사느냐고 물었더니 그래도 그늘에만 들어가면 시원해서 오히려 한국의 끈끈한 여름 날씨가 견디기 힘들다고 한다. 이렇듯 온도와 습도가 함께 높아 찌는 듯 견디기 어려운 더위를 ‘무더위’라고 한다. 무척 심한 더위가 무더위가 아니냐고 하는 사람을 보고 웃었던 적이 있다. 우스갯소리였지만 실제로 젊은 세대들은 그렇게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경우도 많은 것 같다. ‘무더위’의 ‘무’는 ‘물’에서 온 말이다.

요즘 같은 극심한 더위를 ‘불볕더위’라고 한다. ‘햇볕이 몹시 뜨겁게 내리쬘 때의 더위’를 말하는데 ‘불볕더위’라는 말 대신 요즘은 ‘폭염(暴炎)’이라는 말을 많이 쓰는 것 같다. 같은 뜻이라도 한자어를 쓰면 훨씬 센 느낌을 받는 모양이다. 폭염(暴炎), 폭서(暴暑), 혹서(酷暑)에 비하면 ‘불볕더위’는 정겹게 들린다. 말이 세져서 더위도 점점 사나워지는 건 아닐까?

더위와 관련해서 하나 더 보탠다. “‘후텁지근하다’가 맞아요? ‘후덥지근하다’가 맞아요?” 헷갈려 하는 사람들이 많다. 결론부터 얘기하면 둘 다 맞다. 그런데 요즘의 날씨를 말하려 했다면 ‘후텁지근하다’가 정확한 표현일 것이다. ‘후텁지근하다’는 ‘불쾌할 정도로 끈끈하고 무더운 기운이 있다’는 뜻으로 온도와 습도가 높은 것을 모두 포함한다. 반면에 ‘후덥지근하다’는 ‘열기 때문에 답답할 정도로 더운 느낌이 있다’는 뜻으로 온도가 높은 경우에만 쓴다.

임수민 KBS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85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38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353
70 우리말 계통 바람의종 2007.12.22 5843
69 주머니차 바람의종 2007.12.22 7504
68 미꾸라지 바람의종 2007.12.21 7403
67 사람 바람의종 2007.12.21 6766
66 개구지다 바람의종 2007.12.20 8593
65 만주말 지킴이 스쥔광 바람의종 2007.12.20 7453
64 도우미 바람의종 2007.12.18 8197
63 고구마 바람의종 2007.12.18 8823
62 가시버시 바람의종 2007.12.17 7517
61 궁시렁궁시렁 바람의종 2007.12.17 7007
60 토족말 지킴이 챙고츠 바람의종 2007.12.16 7018
59 새말의 정착 바람의종 2007.12.16 7473
58 다슬기 바람의종 2007.12.15 8749
57 옮김과 뒤침 바람의종 2007.12.15 8125
56 꿍치다 바람의종 2007.12.14 9329
55 말과 나라 바람의종 2007.12.14 6764
54 뒷담화 바람의종 2007.12.13 7165
53 부추? 바람의종 2007.12.13 6251
52 우리와 저희 바람의종 2007.12.12 8456
51 다방구 바람의종 2007.12.12 8944
50 몽골말과 몽골어파 바람의종 2007.11.10 9669
49 훈훈하다 바람의종 2007.11.09 134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