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11.10 06:48

이중피동의 쓸모

조회 수 70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이중피동의 쓸모

‘것이었던 것이었던 것이었다!’ 무성영화 시절 변사는 특유의 저 말투로 어떤 장면을 실감나게 강조했다. 저래야 영화의 맛이 살았다. 효과 만점. 모든 표현에는 그렇게 쓰는 이유가 있다.

신화처럼 완고하게 전해오는 명령이 있다. ‘이중피동을 피하라!’ 한 번으로 족한데 두 번이나 피동을 만들 필요가 없다는 것. 정말 그런가? 안 써도 되는데 굳이 쓰는 이유가 있지 않겠나. 설명을 못 할 뿐이지 쓸모없는 게 아니다.

흥미롭게도 옛말에는 진정한 이중피동, 즉 피동접사를 겹쳐 쓰는 말이 꽤 있다. 예를 들면, ‘닫히이다, 막히이다, 잊히이다, 눌리이다, 밟히우다, 잡히우다’. ‘닫히다, 막히다, 잊히다’ 등은 오래전부터 피동사로 쓰였다. 시간이 흘러 이 말이 피동사인지 아닌지 흐릿해지니 ‘이’나 ‘우’를 붙여 피동의 의미를 더 선명하게 했다. 낡은 옷을 기워 입듯, 말도 닳아서 애초의 쓸모가 흐릿해지면 뭔가를 덧댄다. 피동사만으로는 피동의 의미를 나타내기엔 약해 보이니 ‘지다’를 덧붙였다. 장례를 치르는 자식이 육개장을 목으로 넘기며 “이런데도 밥이 먹혀지는군”이라고 할 수 있잖은가. 벌어지는 일에 대한 불가항력이랄까, 거리감의 강조랄까. 아니면, 변명의 장치랄까.

‘시가 이렇게 쉽게 씌어지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윤동주), ‘나는 너에게 너는 나에게 잊혀지지 않는 하나의 눈짓이 되고 싶다’(김춘수), ‘한마디 변명도 못하고 잊혀져야 하는 건가요’(이용 ‘잊혀진 계절’). 익숙해져서 그런지 모르지만, ‘쉽게 쓰인 시, 잊어지지 않는 눈짓, 잊힌 계절’이면 참 어색하다.

사전이나 맞춤법 검사기의 구령에 맞춰 걷지 말자. 나의 감각을 맞춤하게 담을 수만 있다면 어떤 언어도 가능하다. 삶이 그렇듯.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3816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471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199596
3388 터키말과 튀르크어파 바람의종 2007.11.08 6283
3387 과대포장 바람의종 2007.11.08 6687
3386 싸우다와 다투다 바람의종 2007.11.09 6707
3385 운율 바람의종 2007.11.09 7958
3384 훈훈하다 바람의종 2007.11.09 12973
3383 몽골말과 몽골어파 바람의종 2007.11.10 9439
3382 다방구 바람의종 2007.12.12 8781
3381 우리와 저희 바람의종 2007.12.12 8226
3380 부추? 바람의종 2007.12.13 6054
3379 뒷담화 바람의종 2007.12.13 6917
3378 말과 나라 바람의종 2007.12.14 6578
3377 꿍치다 바람의종 2007.12.14 9153
3376 옮김과 뒤침 바람의종 2007.12.15 7931
3375 다슬기 바람의종 2007.12.15 8589
3374 새말의 정착 바람의종 2007.12.16 7249
3373 토족말 지킴이 챙고츠 바람의종 2007.12.16 6711
3372 궁시렁궁시렁 바람의종 2007.12.17 6843
3371 가시버시 바람의종 2007.12.17 7251
3370 고구마 바람의종 2007.12.18 8603
3369 도우미 바람의종 2007.12.18 8024
3368 만주말 지킴이 스쥔광 바람의종 2007.12.20 7248
3367 개구지다 바람의종 2007.12.20 836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