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11.10 06:48

이중피동의 쓸모

조회 수 109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이중피동의 쓸모

‘것이었던 것이었던 것이었다!’ 무성영화 시절 변사는 특유의 저 말투로 어떤 장면을 실감나게 강조했다. 저래야 영화의 맛이 살았다. 효과 만점. 모든 표현에는 그렇게 쓰는 이유가 있다.

신화처럼 완고하게 전해오는 명령이 있다. ‘이중피동을 피하라!’ 한 번으로 족한데 두 번이나 피동을 만들 필요가 없다는 것. 정말 그런가? 안 써도 되는데 굳이 쓰는 이유가 있지 않겠나. 설명을 못 할 뿐이지 쓸모없는 게 아니다.

흥미롭게도 옛말에는 진정한 이중피동, 즉 피동접사를 겹쳐 쓰는 말이 꽤 있다. 예를 들면, ‘닫히이다, 막히이다, 잊히이다, 눌리이다, 밟히우다, 잡히우다’. ‘닫히다, 막히다, 잊히다’ 등은 오래전부터 피동사로 쓰였다. 시간이 흘러 이 말이 피동사인지 아닌지 흐릿해지니 ‘이’나 ‘우’를 붙여 피동의 의미를 더 선명하게 했다. 낡은 옷을 기워 입듯, 말도 닳아서 애초의 쓸모가 흐릿해지면 뭔가를 덧댄다. 피동사만으로는 피동의 의미를 나타내기엔 약해 보이니 ‘지다’를 덧붙였다. 장례를 치르는 자식이 육개장을 목으로 넘기며 “이런데도 밥이 먹혀지는군”이라고 할 수 있잖은가. 벌어지는 일에 대한 불가항력이랄까, 거리감의 강조랄까. 아니면, 변명의 장치랄까.

‘시가 이렇게 쉽게 씌어지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윤동주), ‘나는 너에게 너는 나에게 잊혀지지 않는 하나의 눈짓이 되고 싶다’(김춘수), ‘한마디 변명도 못하고 잊혀져야 하는 건가요’(이용 ‘잊혀진 계절’). 익숙해져서 그런지 모르지만, ‘쉽게 쓰인 시, 잊어지지 않는 눈짓, 잊힌 계절’이면 참 어색하다.

사전이나 맞춤법 검사기의 구령에 맞춰 걷지 말자. 나의 감각을 맞춤하게 담을 수만 있다면 어떤 언어도 가능하다. 삶이 그렇듯.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84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34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261
3392 터키말과 튀르크어파 바람의종 2007.11.08 6524
3391 과대포장 바람의종 2007.11.08 6891
3390 싸우다와 다투다 바람의종 2007.11.09 6886
3389 운율 바람의종 2007.11.09 8190
3388 훈훈하다 바람의종 2007.11.09 13338
3387 몽골말과 몽골어파 바람의종 2007.11.10 9638
3386 다방구 바람의종 2007.12.12 8925
3385 우리와 저희 바람의종 2007.12.12 8419
3384 부추? 바람의종 2007.12.13 6216
3383 뒷담화 바람의종 2007.12.13 7098
3382 말과 나라 바람의종 2007.12.14 6741
3381 꿍치다 바람의종 2007.12.14 9286
3380 옮김과 뒤침 바람의종 2007.12.15 8118
3379 다슬기 바람의종 2007.12.15 8706
3378 새말의 정착 바람의종 2007.12.16 7448
3377 토족말 지킴이 챙고츠 바람의종 2007.12.16 6994
3376 궁시렁궁시렁 바람의종 2007.12.17 6985
3375 가시버시 바람의종 2007.12.17 7460
3374 고구마 바람의종 2007.12.18 8786
3373 도우미 바람의종 2007.12.18 8180
3372 만주말 지킴이 스쥔광 바람의종 2007.12.20 7426
3371 개구지다 바람의종 2007.12.20 855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