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59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4·3과 제주어

‘육지’와 멀리 떨어진 게 고유성을 지키는 조건이었다. 하지만 4·3사건으로 섬사람들은 고립되고 실어증에 걸린다. 제주어는 반란의 언어, 금지된 말. 참상에 대한 증언은 고사하고 제주 사람 티가 나는 말을 쓰는 것조차 꺼렸다. 육지에 나갈 때, 섬말은 바다에 내던져졌다.

2010년 유네스코는 제주어를 ‘사라져 가는 언어’ 5단계 중 4단계인 ‘아주 심각하게 위기에 처한 언어’로 등록했다. 4단계는 소멸 직전의 언어로, 노인들만 뜨문뜨문 쓴다는 뜻이다. 말의 표준화와 미디어의 전국화는 지역어의 위기와 소멸을 초래했다.

그럼에도 제주에는 제주어를 기록, 보존, 활성화하려는 사람들이 많다. 이들의 자긍심은 제주어를 기록하기 위한 별도의 ‘제주어 표기법’을 갖고 있는 데서도 찾을 수 있다. 육지에서는 진작에 버린 ‘아래아’(ㆍ)도 포함되어 있다. ‘아래아’는 만들어지고 얼마 안 지나 소릿값이 바뀌기 시작한 글자다. 단어의 첫소리에서는 주로 ‘ㅏ’로 바뀌고(ᄂᆞᆷ→남), 첫소리 아닌 자리에서는 ‘ㅡ, ㅓ, ㅜ’로 변했다(하ᄂᆞᆯ→하늘, 다ᄉᆞᆺ→다섯, ᄂᆞᄅᆞ→나루). 단어마다 달라지는 발음을 어떻게 표시할지가 숙제이지만, 제주어를 기록하는 사람들은 제주어에 ‘아래아’ 발음이 살아 있으며, 이것이 제주어의 독특함 가운데 하나라고 본다.

제주어가 복권되길 바란다. 딴 지역보다 조건이 좋다. 자율성을 갖춘 자치도이기도 하고, 제주어 복권을 위해 애써온 사람들이 도도하게 버티고 있다. 집과 학교에서, 말로도 글로도 끈질기게 써서 제주어가 하나의 ‘언어’로 활짝 피어나길 빈다. 제주어 만세!


허버허버

“반대말이 없는 단어를 찾고 있어.” 아는 시인이 말했다. 기발하고 ‘기특한’ 상상이다. 나는 그를 ‘기특하다’고 했는데, 아마 당신은 그가 나보다 어린가 보다고 짐작할 것이다(실은 한참 위). 반대로 한 학생이 나를 ‘똑똑하다’라고 평하는 걸 보고, 맞는 말인데도(!) 기분은 상했었다. 밴댕이 소갈머리 선생은 ‘맹랑한 녀석’이라며 찡얼댔다. 어디에도 안 나오지만 안다. ‘표독스럽다’, ‘교태를 부리다’, ‘꼬리를 치다’가 누구를 향하는지 다 안다.

허버허버. “‘남자’가 음식을 급하게 먹을 때 내는 소리나 그 모양”을 뜻하는 새말. ‘남자’만을 지목하기 때문에 남성혐오라는 항의가 잇달았다. 무심코 이 말을 쓴 유명 ‘남성’ 유튜버는 ‘저는 절대 절대 페미니스트가 아니’라며 고해성사를 하고, 카카오톡에서는 이 말이 들어간 이모티콘을 판매 중지하면서 남성혐오 의도가 없다는 해명을 했다.

이 말의 기원이 ‘남자’만을 지목할지는 몰라도, 계속 그러기는 힘들 것이다. 다른 흉내말을 봐도 남녀를 구분하지 않는다. ‘깔짝깔짝, 깨지락깨지락, 꼭꼭, 오물오물, 우걱우걱, 질겅질겅, 쩝쩝, 후루룩’(‘냠냠’ 정도가 ‘아이’를 가리킨다).

사람이 미우면 뭘 먹을 때가 제일 얄밉다. 게다가 ‘허버허버’ 먹는다면 더 얄밉다. ‘기분 나쁘니 쓰지 말라’는 건 손쉬운 반응이긴 한데 문화적이진 않다. 반대말을 만들거나 새 의미를 덧붙여서 그 표현이 갖는 효력을 회수하는 방식이 좀 더 ‘기특한’ 방식이 아닐지.

그래도 말에 상처받았다고 말하는 남성이 늘어난다는 건, 멀리 보았을 때는 좋은 징후다.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40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00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989
3370 자웅을 겨루다 바람의종 2008.01.28 20814
3369 잔떨림 윤안젤로 2013.03.18 20767
3368 들어눕다 / 드러눕다, 들어내다 / 드러내다 바람의종 2012.08.16 20748
3367 고수레 風磬 2006.09.18 20646
3366 찰라, 찰나, 억겁 바람의종 2012.01.19 20528
3365 외래어 합성어 적기 1 바람의종 2012.12.12 20466
3364 뒤처리 / 뒷처리 바람의종 2008.06.07 20384
3363 회가 동하다 바람의종 2008.02.01 20346
3362 옴쭉달싹, 옴짝달싹, 꼼짝달싹, 움쭉달싹 바람의종 2010.08.11 20342
3361 가늠하다, 가름하다, 갈음하다 바람의종 2011.12.30 20332
3360 요, 오 風磬 2006.09.09 20283
3359 어떠태? 바람의종 2013.01.21 20124
3358 배알이 꼬인다 바람의종 2008.01.12 20063
3357 에요, 예요 風磬 2006.09.09 20027
3356 역할 / 역활 바람의종 2009.08.27 19972
3355 진무르다, 짓무르다 바람의종 2010.07.21 19940
3354 봄날은 온다 윤안젤로 2013.03.27 19889
3353 조개 바람의종 2013.02.05 19852
3352 목로주점을 추억하며 윤안젤로 2013.03.28 19836
3351 베짱이, 배짱이 / 째째하다, 쩨제하다 바람의종 2012.07.02 19814
3350 기가 막히다 바람의종 2007.12.29 19736
3349 매기다와 메기다 바람의종 2010.03.12 1962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