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01.28 22:49

통속어 활용법

조회 수 158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통속어 활용법

오랜 국어 수업과 시험을 통해 우리는 항상 ‘표준어가 늘 옳다’는 생각에 젖어 있다. 표준어가 아닌 방언과 비표준어는 배제의 대상이 된다. 비표준어의 대표는 통속어들이다. 길거리에서 굴러다니면서 생겨난 말들이다. 대개는 통속어를 못난 어휘로 여기지만 사실 표준어 주변에 꽤 유용하게 쓰인다.

간단한 예를 들어 ‘원수’라는 말을 생각해 보자. ‘원수’는 적대적인 상대를 일컫는다. ‘웬수’는 그것의 방언형이다. 그러나 그 쓰임새를 보면 ‘웬수’와 ‘원수’는 분명히 다르다. ‘원수’는 적개심을 가지고 쓰지만 ‘웬수’는 오히려 애정을 가지고 사용한다. 주로 여성들이 남편이나 자식들이 속을 썩일 때 쓰지 않는가?

음식 중에 ‘아구찜’이란 것이 있다. 그런데 그 이름의 ‘아구’는 틀리고 ‘아귀’가 맞다. 아무리 마음먹고 ‘아귀찜’이라고 해도 그 음식의 맛이 당겨오지 않는다. 입맛 돌게 하는 말은 아무리 보아도 ‘아구찜’이다. 아귀는 불교에서 말하는 굶주린 귀신을 일컫는 말로 더 적당하다.

바람직한 다른 예로 ‘힘’의 방언 형태인 ‘심’이 들어간 ‘밥심’의 경우가 있다. ‘심’이 ‘힘’의 방언이지만 언어 현실 속에는 오로지 ‘밥심’만 있다. 그렇기에 ‘입심’, ‘뱃심’하고 하나의 계열처럼 규범 어휘 안으로 받아들였다.

표준어는 옳으냐 그르냐의 문제라기보다는 유용함의 여부로 판단하는 것이 낫다. 따라서 그 타당성의 기준을 좀 더 너그럽게 할 필요가 있다. 언어는 반듯한 것보다는 풍부하고 다양한 쓰임새가 중요하다. 그래야 궁극적으로 규범의 권위도 더 강해진다.

김하수/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23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75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660
3260 말끝이 당신이다, 고급 말싸움법 風文 2022.07.19 1485
3259 내일러 風文 2024.01.03 1485
3258 사수 / 십이십이 風文 2020.05.17 1487
3257 언어적 적폐 風文 2022.02.08 1488
3256 아카시아 1, 2 風文 2020.05.31 1489
3255 과잉 수정 風文 2022.05.23 1491
3254 아주버님, 처남댁 風文 2024.01.02 1491
3253 왕의 화병 風文 2023.11.09 1495
3252 가짜와 인공 風文 2023.12.18 1495
3251 말의 적 / 화무십일홍 風文 2023.10.09 1496
3250 구경꾼의 말 風文 2022.12.19 1497
3249 주현씨가 말했다 風文 2023.11.21 1498
3248 어떤 문답 관리자 2022.01.31 1499
3247 유신의 추억 風文 2021.11.15 1501
3246 돼지의 울음소리, 말 같지 않은 소리 風文 2022.07.20 1503
3245 새말과 소통, 국어공부 성찰 風文 2022.02.13 1504
3244 세계어 배우기 風文 2022.05.11 1504
3243 있다가, 이따가 風文 2024.01.03 1504
3242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507
3241 피동형을 즐기라 風文 2023.11.11 1512
3240 올가을 첫눈 / 김치 風文 2020.05.20 1513
3239 적과의 동침, 어미 천국 風文 2022.07.31 151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