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01.11 07:59

공화 정신

조회 수 1930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공화 정신

민주주의 체제에 위기를 느끼게 되면서 다시 한 번 우리의 정치 제도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된다. 우리 국호인 ‘대한민국’의 ‘민국’이란 말은 공화국을 일컫는다. 기원전 842년 중국 주나라의 여왕이라는 사람은 폭정을 일삼다가 쫓겨난다. 그래서 13년 동안이나 ‘왕이 없는’ 정권이 생겨났었다. 그 기간에 신하들이 함께 어울려 정치를 했다는 뜻으로 ‘공화’라고 한다. 이 말을 근대 전환기에 유럽의 ‘공화제’를 번역하는 데에 이용하여 지금의 공화국 같은 말이 생겨났다.

그런데 국호에 ‘공화국’이라는 말을 쓰지 않고 ‘민국’이란 말을 붙이는 나라는 우리와 중화민국(대만)밖에 없다. 나머지는 모두 공화국이라 한다. 그나마 우리는 중화민국을 승인도 하지 않고 있으니 우리만 좀 낡은 국호를 가지고 있는 셈이다. 그래서 그런지 늘 제대로 된 공화제 정치를 맛본 일이 없는 것 같아 무척 안타깝다.

함께 어울려 하는 정치’는 현실 정치에 익숙한 사람들에게는 지나치게 비현실적이고 낭만적으로 보일 것이다. 지금까지의 민주 정치라는 것이 거의 아귀다툼의 정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좀 더 적극적으로 해석해 본다면 정치라는 것이 근본적으로는 자신의 꿈과 낭만을 성취해 가는 작업이 아니겠는가?

공화라는 말의 기원은 통치자의 부재에서 비롯했으나 앞으로의 공화제는 통치자의 개념보다는 좀 더 ‘화합 정치’ 쪽으로 무게의 중심을 옮길 필요가 있다. 민주제도가 오래된 나라일수록 막강한 통치자의 능력보다는 손발을 잘 맞추는 유능한 직업 정치인들에게 의존한다. 황제 같은 권위주의적 통치자를 두고 어찌 그것을 공화제라 할 수 있겠는가? 우리가 겪고 있는 정치적 위기는 권위주의를 벗어나 좀 더 나은 정치를 만들어 내는 중요한 각성의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

김하수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500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59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292
334 쑥돌·감돌·몽돌 바람의종 2008.05.08 10952
333 푸석수염 바람의종 2008.05.08 8157
332 보도자료 바람의종 2008.05.06 4436
331 소와리골 바람의종 2008.05.06 7200
330 벌개미취 바람의종 2008.05.05 7148
329 금덩이·은덩이 바람의종 2008.05.05 10701
328 갑작사랑 바람의종 2008.05.05 7643
327 떡값 바람의종 2008.05.03 7010
326 실레마을과 시루 바람의종 2008.05.03 7900
325 다정큼나무 바람의종 2008.05.01 9033
324 망이·망쇠 바람의종 2008.05.01 9631
323 갑작힘 바람의종 2008.04.30 8434
322 궂긴소식 바람의종 2008.04.30 8994
321 패수와 열수 바람의종 2008.04.29 10733
320 각시취 바람의종 2008.04.29 7488
319 터물·더믈 바람의종 2008.04.28 8416
318 예비 바람의종 2008.04.28 7771
317 모시는 글 바람의종 2008.04.27 17471
316 공암진 바람의종 2008.04.27 7860
315 솔체꽃 바람의종 2008.04.26 7899
314 오마대·기림대·오고타이 바람의종 2008.04.26 7839
313 설둥하다 바람의종 2008.04.25 724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