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1.10.31 09:05

개헌을 한다면

조회 수 119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개헌을 한다면

우리의 헌법을 들여다보면 아쉬운 점이 있다. 문화에 대해서 겨우 한 조항(9조), 교육에 대해서도 겨우 한 조항(31조), 그러고는 나머지 대부분이 권력을 어떻게 나눌 것인가에 집중되어 있다. 헌법 자체의 성격이 우리와는 사뭇 다르지만 그래도 북한의 헌법에는 문화와 교육 부문에 무려 20개 가까운 조항들이 들어가 있다.

한동안 정치권에서 개헌 이야기가 들리더니 또 조용해진다. 이렇게 중요한 문제를 정치인들에게만 맡겨 놓으면 보나마나 또 권력 문제만 논의할 것이다. 이럴 때 그저 그런 보통 사람들의 생각도 한번 모아 보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일단 너무 큰 기대는 하지 말고 한 가지씩 꿈을 이야기해 보자. (새) 헌법에 언어에 대한 조항을 마련한다면 무엇을 넣는 게 좋을까?

아마도 욕설을 금지하자는 둥, 표준어를 더욱더 강화하자는 둥, 또는 외래어를 못 쓰게 하고 순수한 우리 어휘를 살리도록 하자는 둥 하는 다양한 의견이 나올 것이다. 그러나 언어를 악용함으로 말미암아 사회에 대한 신뢰가 결정적으로 망가지게 되는 그 밑뿌리에는 분명히 공직자들이 하는 거짓말이나 오리발 내밀기, 또 더 나아가 유체이탈식 표현과 허위 선거 공약들이 둥지 틀고 있지 않은가?

지금까지 우리는 정치인들의 언어를 믿고 지지를 해 주었으나 결국은 배신당하는 경우가 참으로 많았다. 그러면서도 그릇된 언어 사용을 문제 삼아 형벌을 준다는 것은 별로 생각해 본 일이 없다. 그러나 보통 사람이 아닌 공직자들의 언어 왜곡은 아무리 보아도 다수를 향한 절도나 사기와 별 차이가 없다. 그리고 공동체를 향한 신뢰에 가장 치명적 상처를 내고 있다. 언어를 그릇되게 쓴 공직자에게 책임을 묻고 벌할 수 있는 무언가의 근거가 헌법에 명시된다면 좀 더 나은 사회가 되지 않을까?

김하수/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52925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9501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14478
    read more
  4. 개헌을 한다면

    Date2021.10.31 By風文 Views1190
    Read More
  5. 날아다니는 돼지, 한글날 몽상

    Date2022.07.26 By風文 Views1190
    Read More
  6. 경평 축구, 말과 동작

    Date2022.06.01 By風文 Views1195
    Read More
  7. 사람, 동물, 언어 / 언어와 인권

    Date2022.07.13 By風文 Views1195
    Read More
  8. 인과와 편향, 같잖다

    Date2022.10.10 By風文 Views1199
    Read More
  9. 모호하다 / 금쪽이

    Date2023.10.11 By風文 Views1201
    Read More
  10. 내연녀와 동거인

    Date2023.04.19 By風文 Views1205
    Read More
  11. ‘내 부인’이 돼 달라고?

    Date2023.11.01 By風文 Views1206
    Read More
  12.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Date2023.12.30 By風文 Views1208
    Read More
  13. 온실과 야생, 학교, 의미의 반사

    Date2022.09.01 By風文 Views1209
    Read More
  14. 올림픽 담론, 분단의 어휘

    Date2022.05.31 By風文 Views1210
    Read More
  15. 24시 / 지지지난

    Date2020.05.16 By風文 Views1212
    Read More
  16. ‘짝퉁’ 시인 되기, ‘짝퉁’ 철학자 되기

    Date2022.07.16 By風文 Views1212
    Read More
  17. 노동과 근로, 유행어와 신조어

    Date2022.07.12 By風文 Views1213
    Read More
  18. 말과 상거래

    Date2022.05.20 By風文 Views1216
    Read More
  19.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이제 '본전생각' 좀 버립시다

    Date2022.02.06 By風文 Views1218
    Read More
  20. 주어 없는 말

    Date2021.11.10 By風文 Views1220
    Read More
  21. 연말용 상투어

    Date2022.01.25 By風文 Views1222
    Read More
  22. 고백하는 국가, 말하기의 순서

    Date2022.08.05 By風文 Views1223
    Read More
  23. 옹알이

    Date2021.09.03 By風文 Views1224
    Read More
  24. 동무 생각, 마실 외교

    Date2022.06.14 By風文 Views1228
    Read More
  25. 외국어 차용

    Date2022.05.06 By風文 Views1229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