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1.09.15 12:46

비판과 막말

조회 수 106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비판과 막말

언제부턴지 우리 정치판에서 ‘막말’이라는, 개념이 불투명한 말이 남용되고 있다. 이 말은 사람들에게 혐오감을 불러일으키는 저급한 표현을 가리키지만 동시에 시퍼렇게 날이 선 비판적인 표현에도 똑같은 딱지를 붙이기도 한다. 냉정한 구분이 필요하다.

정치인의 말은 자신의 개인적인 언어활동이기도 하면서 사회집단의 의견과 마음을 ‘대변’하는 기능도 한다. 그들이 우리 사회의 그늘진 곳에서 피해를 본 억울한 집단을 대변하려 한다면 그 어찌 곱고 단정한 어휘로만 말을 할 수 있겠는가? 또 책임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 국가기관을 비판하거나 책임자를 추궁하는 일에 어찌 무미건조한 어휘로 그 뜻을 제대로 전할 수 있겠는가? 언어를 비판적으로 사용하려면 풍자, 비유, 조소 등에 매우 능해야 하고, 강자에 대한 도전 의식과 약자에 대한 공감 능력도 필수적이다. 또 비판적인 언어는 주어진 판세 자체를 흔드는 기능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얌전한 말만 골라 쓰자고 강요한다면 기존 판세에서 가장 유리한 사람들이 또 덕을 보게 된다. 새로운 판세를 필요로 하는 사람은 자신의 언어를 매우 강하게, 맵게, 매몰차게 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무턱대고 ‘막말’을 쓰면 안 된다고 하는 주장은 사실상 누군가의 편을 드는 셈이다. 더구나 개념이 불분명하면 정치적 약자 아무한테나 뒤집어씌우기도 딱 좋다.

정치인과 유권자들의 소통을 이어주는 중요한 책임은 언론 매체에 있다. 따라서 목청을 높여 누가 막말을 했다고 요란을 떨기보다는 왜 그 말을 했는지, 그 말은 궁극적으로 누구에게 유리하고 불리한지를 예리하고 차분하게 보도하는 것이 옳다. 그렇게 함으로써 유권자들이 그 ‘맥락’을 스스로 깨닫게 해야 한다. 그다음의 판단은 유권자의 몫이다. 보도 매체가 스스로 정치하려고 나서니까 불분명한 개념으로 우리의 정치가, 정치인들이 망가져 가고 있는 것이다.

김하수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00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56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524
3150 한글의 약점, 가로쓰기 신문 風文 2022.06.24 1460
3149 대화의 어려움, 칭찬하기 風文 2022.06.02 1462
3148 '마징가 Z'와 'DMZ' 風文 2023.11.25 1462
3147 질문들, 정재환님께 답함 風文 2022.09.14 1463
3146 내 청춘에게? 風文 2024.02.17 1470
3145 국가 사전 폐기론, 고유한 일반명사 風文 2022.09.03 1471
3144 성인의 세계 風文 2022.05.10 1472
3143 일타강사, ‘일’의 의미 風文 2022.09.04 1472
3142 방언의 힘 風文 2021.11.02 1473
3141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IMF, 막고 품어라, 내 인감 좀 빌려주게 風文 2022.02.01 1474
3140 형용모순, 언어의 퇴보 風文 2022.07.14 1476
3139 멋지다 연진아, 멋지다 루카셴코 風文 2023.04.17 1483
3138 개양귀비 風文 2023.04.25 1485
3137 콩글리시 風文 2022.05.18 1486
3136 배운 게 도둑질 / 부정문의 논리 風文 2023.10.18 1491
3135 방방곡곡 / 명량 風文 2020.06.04 1495
3134 어쩌다 보니 風文 2023.04.14 1497
3133 온나인? 올라인? 風文 2024.03.26 1501
3132 배레나룻 風文 2024.02.18 1503
3131 말다듬기 위원회 / 불통 風文 2020.05.22 1509
3130 마라톤 / 자막교정기 風文 2020.05.28 1509
3129 ‘시끄러워!’, 직연 風文 2022.10.25 151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