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1.09.15 12:46

비판과 막말

조회 수 105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비판과 막말

언제부턴지 우리 정치판에서 ‘막말’이라는, 개념이 불투명한 말이 남용되고 있다. 이 말은 사람들에게 혐오감을 불러일으키는 저급한 표현을 가리키지만 동시에 시퍼렇게 날이 선 비판적인 표현에도 똑같은 딱지를 붙이기도 한다. 냉정한 구분이 필요하다.

정치인의 말은 자신의 개인적인 언어활동이기도 하면서 사회집단의 의견과 마음을 ‘대변’하는 기능도 한다. 그들이 우리 사회의 그늘진 곳에서 피해를 본 억울한 집단을 대변하려 한다면 그 어찌 곱고 단정한 어휘로만 말을 할 수 있겠는가? 또 책임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 국가기관을 비판하거나 책임자를 추궁하는 일에 어찌 무미건조한 어휘로 그 뜻을 제대로 전할 수 있겠는가? 언어를 비판적으로 사용하려면 풍자, 비유, 조소 등에 매우 능해야 하고, 강자에 대한 도전 의식과 약자에 대한 공감 능력도 필수적이다. 또 비판적인 언어는 주어진 판세 자체를 흔드는 기능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얌전한 말만 골라 쓰자고 강요한다면 기존 판세에서 가장 유리한 사람들이 또 덕을 보게 된다. 새로운 판세를 필요로 하는 사람은 자신의 언어를 매우 강하게, 맵게, 매몰차게 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무턱대고 ‘막말’을 쓰면 안 된다고 하는 주장은 사실상 누군가의 편을 드는 셈이다. 더구나 개념이 불분명하면 정치적 약자 아무한테나 뒤집어씌우기도 딱 좋다.

정치인과 유권자들의 소통을 이어주는 중요한 책임은 언론 매체에 있다. 따라서 목청을 높여 누가 막말을 했다고 요란을 떨기보다는 왜 그 말을 했는지, 그 말은 궁극적으로 누구에게 유리하고 불리한지를 예리하고 차분하게 보도하는 것이 옳다. 그렇게 함으로써 유권자들이 그 ‘맥락’을 스스로 깨닫게 해야 한다. 그다음의 판단은 유권자의 몫이다. 보도 매체가 스스로 정치하려고 나서니까 불분명한 개념으로 우리의 정치가, 정치인들이 망가져 가고 있는 것이다.

김하수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2888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4415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28Dec
    by 風文
    2023/12/28 by 風文
    Views 1328 

    ‘며칠’과 ‘몇 일’

  5. No Image 24May
    by 風文
    2020/05/24 by 風文
    Views 1331 

    경텃절몽구리아들 / 모이

  6. No Image 17Jun
    by 風文
    2022/06/17 by 風文
    Views 1331 

    우리와 외국인, 글자 즐기기

  7. No Image 17Oct
    by 風文
    2022/10/17 by 風文
    Views 1331 

    자막의 질주, 당선자 대 당선인

  8. No Image 19Jul
    by 風文
    2022/07/19 by 風文
    Views 1334 

    말끝이 당신이다, 고급 말싸움법

  9. No Image 12May
    by 風文
    2023/05/12 by 風文
    Views 1336 

    대통령과 책방

  10. No Image 09Oct
    by 風文
    2023/10/09 by 風文
    Views 1340 

    말의 적 / 화무십일홍

  11. No Image 11Nov
    by 風文
    2023/11/11 by 風文
    Views 1340 

    귀 잡수시다?

  12. No Image 12Jan
    by 風文
    2022/01/12 by 風文
    Views 1342 

    자백과 고백

  13. No Image 21Jan
    by 風文
    2022/01/21 by 風文
    Views 1345 

    말로 하는 정치

  14. No Image 30Dec
    by 風文
    2023/12/30 by 風文
    Views 1348 

    ‘이고세’와 ‘푸르지오’

  15. No Image 24Jul
    by 風文
    2022/07/24 by 風文
    Views 1349 

    어떻게 토론할까, 질문 안 할 책임

  16. No Image 08Feb
    by 風文
    2022/02/08 by 風文
    Views 1350 

    언어적 적폐

  17. No Image 13Feb
    by 風文
    2022/02/13 by 風文
    Views 1351 

    새말과 소통, 국어공부 성찰

  18. No Image 03Jan
    by 風文
    2024/01/03 by 風文
    Views 1351 

    있다가, 이따가

  19. No Image 31Jan
    by 관리자
    2022/01/31 by 관리자
    Views 1352 

    말의 평가절하

  20. No Image 13Oct
    by 風文
    2022/10/13 by 風文
    Views 1355 

    정치와 은유(2, 3)

  21. No Image 29Jan
    by 風文
    2022/01/29 by 風文
    Views 1356 

    태극 전사들

  22. No Image 20Jul
    by 風文
    2022/07/20 by 風文
    Views 1356 

    돼지의 울음소리, 말 같지 않은 소리

  23. No Image 15Oct
    by 風文
    2022/10/15 by 風文
    Views 1356 

    부동층이 부럽다, 선입견

  24. No Image 06Aug
    by 風文
    2022/08/06 by 風文
    Views 1358 

    직거래하는 냄새, 은유 가라앉히기

  25. '바치다'와 '받치다'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