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9.26 12:12

'데' 띄어쓰기

조회 수 11615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데' 띄어쓰기

'없다'는 일부 단어와 결합해 '물샐틈없다, 간데온데없다, 쓸데없다, 올데갈데없다' 등과 같이 긴 단어를 만든다. 하지만 '데'가 '없다'와 결합하지 않을 경우에는 '쓸 데 있어' '올 데' '갈 데'처럼 띄어 써야 한다. '올/갈 데'의 '데'는 '곳'이나 '장소'를 뜻하는 의존명사다. '지난번에 갔던 데를 다시 갔다'처럼 쓰인다. 또한 '그 일을 끝마치는 데 한 달 걸렸다'와 같이 '데'가 '일'이나 '것'의 의미로 쓰이거나 '배 아픈 데 먹는 약'과 같이 '경우'를 나타낼 때도 띄어 써야 한다. 그러나 '배 아픈데 좀 쉬어라'의 '데'는 붙여 써야 한다. 여기서 '데'는 '뒤 절에서 어떤 일을 설명하거나 제안하기 위해 그 대상과 상관되는 상황을 미리 알려 주는' 뜻의 연결어미인 'ㄴ데'의 일부이기 때문이다. '할 일은 많은데 시간이 없다' '공부하는데 전화가 왔다'의 '은데' '는데'도 붙여 써야 한다. '회사를 자주 결근하던데 집에 무슨 일이 있느냐'처럼 과거를 회상할 경우에도 '던데'로 붙여 써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41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02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996
3414 “영수증 받으실게요” 風文 2024.01.16 1711
3413 ‘도와센터’ ‘몰던카’ 風文 2024.01.16 1748
3412 ‘거칠은 들판’ ‘낯설은 타향’ 風文 2024.01.09 1825
3411 헷갈리는 맞춤법 風文 2024.01.09 1839
3410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388
3409 북한의 ‘한글날’ 風文 2024.01.06 1430
3408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402
3407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425
3406 있다가, 이따가 風文 2024.01.03 1379
3405 내일러 風文 2024.01.03 1282
3404 아주버님, 처남댁 風文 2024.01.02 1265
3403 한 두름, 한 손 風文 2024.01.02 1323
3402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384
3401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風文 2023.12.30 1219
3400 뒤치다꺼리 風文 2023.12.29 1353
3399 ‘~스런’ 風文 2023.12.29 1412
3398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350
3397 한소끔과 한 움큼 風文 2023.12.28 1455
3396 '-시키다’ 風文 2023.12.22 1315
3395 여보세요? 風文 2023.12.22 1116
3394 장녀, 외딸, 고명딸 風文 2023.12.21 1256
3393 어떤 반성문 風文 2023.12.20 119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