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5.20 05:21

피자집, 맥줏집

조회 수 9788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피자집, 맥줏집

아이들이 좋아하는 서양 음식 중에 피자가 있다. 피자를 파는 가게를 발음을 따라 대부분 '피잣집'으로 적기 쉬우나 '피잣집'은 바른 표기가 아니다. '피자집'으로 써야 옳다. '피자'가 외래어이기 때문에 사이시옷을 받쳐 적을 수 없기 때문이다. 사이시옷 규정을 살펴보자. 한글 맞춤법에서 사이시옷을 쓸 수 있는 경우는 순 우리말이거나 순 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명사로서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거나, 뒷말의 첫소리 'ㄴ, ㅁ'이나 모음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때다. 다만 두 음절로 된 한자어 여섯 개(곳간, 셋방, 숫자, 찻간, 툇간, 횟수)는 이 원칙과 상관없이 '사이시옷'을 넣는다. 이 규정에 따르면 '기차간, 전세방'은 여섯 개의 예외조항에 포함된 한자어가 아니므로 사이시옷을 적을 수 없다.

'핑크빛' 또한 외래어와 우리말의 합성명사이므로 사이시옷을 적지 않는다. 그러나 위 규정만으로는 일반인이 사이시옷을 완벽하게 해결할 수 없다. 표준 발음을 정확히 알 수 없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사전에 의지할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하지만 자주 틀리는 아래 단어들을 외우면 조금은 도움이 될 것이다. '등굣길, 하굣길, 성묫길, 대푯값, 맥줏집, 만둣국, 기댓값, 장밋빛, 보랏빛, 예삿일' 등은 표기가 낯설어 보이지만 사이시옷을 받쳐 적어야 한다. 반면 '인사말, 머리말, 머리기사'는 사이시옷을 쓰지 않는다. 외래어로 구성된 단어에는 사이시옷이 들어가지 않는다는 사실이라도 알아두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88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38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288
3238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283
3237 '밖에'의 띄어쓰기 風文 2023.11.22 1285
3236 말로 하는 정치 風文 2022.01.21 1286
3235 붓다 / 붇다 風文 2023.11.15 1288
3234 어떻게 토론할까, 질문 안 할 책임 風文 2022.07.24 1289
3233 경텃절몽구리아들 / 모이 風文 2020.05.24 1290
3232 말끝이 당신이다, 고급 말싸움법 風文 2022.07.19 1290
3231 적과의 동침, 어미 천국 風文 2022.07.31 1290
3230 깻잎 / 기림비 1 風文 2020.06.01 1293
3229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294
3228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295
3227 말의 평가절하 관리자 2022.01.31 1297
3226 주현씨가 말했다 風文 2023.11.21 1297
3225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299
3224 귀 잡수시다? 風文 2023.11.11 1300
3223 국민께 감사를 風文 2021.11.10 1302
3222 유신의 추억 風文 2021.11.15 1302
3221 있다가, 이따가 風文 2024.01.03 1302
3220 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風文 2023.11.14 1303
3219 ‘파바’와 ‘롯리’ 風文 2023.06.16 1304
3218 쌤, 일부러 틀린 말 風文 2022.07.01 1305
3217 호언장담 風文 2022.05.09 130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