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4.14 00:42

연도 / 년도

조회 수 27901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연도 / 년도

'사업 연도, 회계 연도/ 신년도, 구년도, 2004년도 예산안' 등 일상생활에서 널리 쓰이는 '연도/년도(年度)'가 어떨 때는 '연도'로, 어떨 때는 '년도'로 쓰여 그 이유가 궁금할 것이다. 이를 혼동해 쓰는 경우도 보인다.

'연도'는 사무나 회계 결산 따위의 처리를 위해 편의상 구분한 일년의 기간을 뜻하는 명사로 '사업 연도, 회계 연도'처럼 쓴다.'년도'는 해를 뜻하는 말 뒤에 쓰여 일정한 기간 단위로서의 그해를 뜻하는 의존명사로 '2005년도 예산안'처럼 쓴다.

한글 맞춤법에 '한자음 '녀, 뇨, 뉴, 니'가 단어 첫머리에 올 때에는 두음법칙에 따라 '여, 요, 유, 이'로 적는다. 다만 '냥, 냥쭝, 년'과 같은 의존명사에서는 '냐, 녀' 음을 인정한다'고 규정돼 있다. 또한 붙임 규정에 '단어의 첫머리가 아닌 경우에도 '신여성, 공염불'같이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가 붙어서 된 말, '남존여비' 같은 합성어, '서울여자대학교'처럼 둘 이상의 단어로 이뤄진 고유명사도 두음법칙이 적용된다'라고 돼 있다.

'사업 연도, 회계 연도'는 각각 '사업'과 '연도', '회계'와 '연도'가 이어져 이뤄진 말로 말의 첫머리이므로 두음법칙을 적용해 '연도'로 적어야 옳다. 다만 같은 '年度'라 하더라도 '新年+度, 舊年+度'와 같이 분석되는 합성어는 '신년도, 구년도'로 적는다.

참고로 '생년월일'의 경우는 '생'과 '연월일'이나 '생년'과 '월일'이 결합된 합성어의 경우도 아니고, '신여성'처럼 '생'이 접두사처럼 쓰이는 한자어도 아니다. '생년월일'은 '생년+생월+생일'을 줄여 이르는 말이므로 '생년월일'로 적어야 한다.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3492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5074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04Sep
    by 윤영환
    2006/09/04 by 윤영환
    Views 26248 

    한글 맞춤법 강의 - 박기완

  5. No Image 08May
    by 바람의종
    2010/05/08 by 바람의종
    Views 26802 

    부화가 치밀다, 부아가 치밀다 / 화병, 홧병

  6. No Image 18Oct
    by 바람의종
    2010/10/18 by 바람의종
    Views 27069 

    본때없다, 본데없다, 본떼없다, 본대없다

  7. No Image 31May
    by 바람의종
    2010/05/31 by 바람의종
    Views 27628 

    단추를 꿰다, 끼우다, 채우다

  8. No Image 14Apr
    by 바람의종
    2009/04/14 by 바람의종
    Views 27901 

    연도 / 년도

  9. No Image 17Mar
    by 바람의종
    2009/03/17 by 바람의종
    Views 27925 

    상서롭다/상스럽다

  10. No Image 12Sep
    by 바람의종
    2012/09/12 by 바람의종
    Views 28029 

    널브러져/널부러져/너브러져/너부러져

  11. No Image 13May
    by 윤안젤로
    2013/05/13 by 윤안젤로
    Views 28143 

    CCTV

  12. No Image 28Nov
    by 바람의종
    2012/11/28 by 바람의종
    Views 29438 

    함바집, 노가다

  13. No Image 08Oct
    by 바람의종
    2012/10/08 by 바람의종
    Views 30178 

    이었다, 이였다

  14. No Image 24Dec
    by 바람의종
    2012/12/24 by 바람의종
    Views 30554 

    감질맛, 감칠맛

  15. No Image 25Jul
    by 바람의종
    2012/07/25 by 바람의종
    Views 30595 

    양수겹장 / 양수겸장

  16. No Image 26Sep
    by 바람의종
    2012/09/26 by 바람의종
    Views 31558 

    일찌기, 일찍이 / 더우기, 더욱이

  17. No Image 14Aug
    by 바람의종
    2012/08/14 by 바람의종
    Views 32940 

    귀를 기울이다 / 술잔을 기우리다

  18. No Image 09May
    by 바람의종
    2012/05/09 by 바람의종
    Views 34351 

    퀘퀘하다, 퀴퀴하다, 쾌쾌하다

  19. No Image 22Dec
    by 바람의종
    2007/12/22 by 바람의종
    Views 35914 

    지도 편달

  20. No Image 12Dec
    by 바람의종
    2012/12/12 by 바람의종
    Views 38137 

    미소를 / 활기를 / 운을 띄우다

  21. No Image 01Feb
    by 바람의종
    2008/02/01 by 바람의종
    Views 39892 

    홰를 치다

  22. No Image 06Nov
    by 바람의종
    2012/11/06 by 바람의종
    Views 40847 

    콩깍지가 쓰였다 / 씌였다

  23. No Image 26Nov
    by 바람의종
    2010/11/26 by 바람의종
    Views 48037 

    핼쑥하다, 해쓱하다, 헬쓱하다, 헬쑥하다, 핼슥하다, 헬슥하다

  24. No Image 27Nov
    by 바람의종
    2012/11/27 by 바람의종
    Views 50973 

    펴다와 피다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