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8.11 05:09

푸르른

조회 수 6254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푸르른

'눈이 부시게 푸르른 날은/그리운 사람을 그리워하자/저기 저기 저 가을 꽃자리/초록이 지쳐 단풍 드는데….' 서정주님의 시 '푸르른 날'의 일부분입니다. 지금은 여름철이라 눅눅한데 하늘까지 흐려서 서늘한 바람과 높은 가을 하늘이 그립죠? 위에서도 볼 수 있듯 '푸르른'은 시나 노랫말에 많이 쓰이지만 사실은 바르지 않은 표현입니다. '푸르르다'라는 말이 없기 때문에 '푸르른'으로 활용할 수 없는 것이지요. 이런 경우에는 '푸르다'에서 변화한 '푸른'을 쓰면 바른 표현이 됩니다. 예를 들어 '푸르른 오월'은 '푸른 오월'로 고쳐 쓰면 되겠죠.

'푸르다'는 '러'불규칙 용언이어서 '푸르+어'의 형태가 될 경우 '어'가 '러'로 변합니다. 즉 '푸르러'가 되지요. 어떤 장소나 때에 도착하다는 뜻인 '이르다'와 색깔을 나타내는 '누르다'도 '러'불규칙 용언입니다. 따라서 '이르러' '누르러'로 활용합니다. 이들도 기본형이 '이르르다' '누르르다'인 것으로 착각하는 사람이 많아서 '이르른' '누르른' 등으로 잘못 쓰는 사례가 흔합니다. 이것은 '이른'과 '누른'으로 써야 바른 형태입니다.

'푸르른' '이르른' 등이 '푸른' '이른'보다 리듬감이 더 좋게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시나 노랫말 등에 많이 쓰는지도 모르지요. 그렇다고 일상에서까지 일부러 틀린 말을 쓰지는 말아야겠습니다.

김형식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85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36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265
3216 호언장담 風文 2022.05.09 1306
3215 풀어쓰기, 오촌 아재 風文 2022.10.08 1306
3214 새말과 소통, 국어공부 성찰 風文 2022.02.13 1307
3213 어떤 문답 관리자 2022.01.31 1309
3212 '바치다'와 '받치다' file 風文 2023.01.04 1309
3211 정치와 은유(2, 3) 風文 2022.10.13 1310
3210 언어적 적폐 風文 2022.02.08 1311
3209 돼지의 울음소리, 말 같지 않은 소리 風文 2022.07.20 1312
3208 혁신의 의미, 말과 폭력 風文 2022.06.20 1314
3207 ○○노조 風文 2022.12.26 1315
3206 선정-지정 / 얼룩빼기 황소 風文 2020.05.15 1316
3205 이름 짓기, ‘쌔우다’ 風文 2022.10.24 1317
3204 “힘 빼”, 작은, 하찮은 風文 2022.10.26 1317
3203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319
3202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320
3201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風文 2022.06.26 1322
3200 뉴 노멀, 막말을 위한 변명 風文 2022.08.14 1323
3199 두꺼운 다리, 얇은 허리 風文 2023.05.24 1324
3198 부동층이 부럽다, 선입견 風文 2022.10.15 1325
3197 말의 적 / 화무십일홍 風文 2023.10.09 1325
3196 정치인의 애칭 風文 2022.02.08 1326
3195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32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