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12 01:30

해라體와 하라體

조회 수 6864 추천 수 1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해라體와 하라體

학원 선생님인 독자께 e-메일을 받았습니다. 시험 문제를 낼 때 맞는 답을 '써라'라고 해야 하는지, '쓰라'라고 해야 하는지 늘 헷갈린다고요.

'(정답을) 고르라/골라라''(그림을) 그리라/그려라''(물음에) 답하라/답하여라''(알맞은 것끼리) 이으라/이어라' 등도 비슷한 고민거리네요.

얼굴을 맞대고 얘기할 때 상대에게 '먹으라, 마시라, 잡으라, 보라'라고 하나요? 아니지요. '먹어라, 마셔라, 잡아라, 봐라'라고 하지요. 상대를 아주 낮춰 부르는(명령하는) 이런 말투를 해라체(體)라고 합니다. 이처럼 일상 생활에서는 '동사 어간+어라/아라' 형태의 구어체 명령형을 쓰는 게 자연스럽습니다.

그렇다면 잠깐 왼쪽의 오늘의 운세를 봐 주실래요. '60년생 자신감을 키우라. 37년생 받을 것은 포기하지 말고 받으라. 61년생 건강에 신경 쓰라. 26년생 버릴수록 행복해진다. 마음을 비우라.' 여기에서 '키우라, 받으라, 쓰라, 비우라'는 '키워라, 받아라, 써라, 비워라'라고 하는 것보다 상대를 덜 낮춘 느낌이 듭니다. 이처럼 구체적으로 정해지지 않은 독자에게 책·신문 등의 매체를 통해 명령의 뜻을 나타낼 때 하는 말투를 하라체라고 합니다. '동사 어간+라/으라' 형태(문어체 명령형)로 쓰입니다.

시험 문제는 여러 학생을 대상으로 한 글말(문어)입니다. 따라서 일관성 있게 '고르라, 그리라, 답하라, 쓰라, 이으라'로 써야 합니다.

김승욱 기자 kswjiri@joongang.co.k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70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28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273
136 할 일 없이 / 하릴없이 바람의종 2010.08.03 12955
135 할려고? 하려고? 바람의종 2010.07.25 14502
134 할말과 못할말 바람의종 2008.01.05 7606
133 할망구 바람의종 2007.04.24 11262
132 할미새 바람의종 2009.12.04 10047
131 할증료 바람의종 2007.10.26 7597
130 함께하다/ 함께 하다, 대신하다/ 대신 하다 바람의종 2009.03.29 14500
129 함바집, 노가다 바람의종 2012.11.28 29439
128 함함하다 바람의종 2012.05.18 11251
127 함흥차사 바람의종 2007.12.24 11965
126 합사, 분사 바람의종 2010.07.25 12059
125 합쇼체 바람의종 2010.03.18 12219
124 합하 바람의종 2007.09.20 8385
123 핫도그와 불독 바람의종 2008.09.18 8996
122 핫바지 바람의종 2007.04.24 8284
121 핫어미와 핫아비 바람의종 2010.01.23 11744
120 해거름, 고샅 바람의종 2008.10.11 7986
» 해라體와 하라體 바람의종 2008.05.12 6864
118 해설피 바람의종 2010.05.31 14815
117 해오라기 바람의종 2009.05.17 8500
116 해오라기난초 바람의종 2008.04.05 8476
115 해장 바람의종 2012.07.23 1345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