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06.07 03:16

기별

조회 수 8601 추천 수 3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기별

  본뜻 : 조선 시대 임금의 명령을 들이고 내는 관청이었던 승정원에서는 그 전날 처리한 일을 적어서 매일 아침마다 널리 반포했다.  일종의 관보라고 할 수 있는 이것을 기별이라고 불렀고, 기별을 담은 종이를 기별지라고 불렀다. 그러므로 어떤 일이 확실히 결정된 것을 확인하려면 기별지를 받아야 알 수 있었다.  애타게 기다리던 결정이 기별지에 반포되면 일의 성사 여부를 알 수 있었으므로 그때서야 사람들은 기쁨과 안도의 숨을 쉴 수 있었던 것이다. '기별이 왔는가?'하는 말이 일의 성사 여부를 묻는 말이 된 연원이 여기에 있다.

  바뀐 뜻 : '소식을 전한다' 혹은 '소식을 전하는 통지나 전화' 등을 가리키는 말로 전이되었다.

  "보기글"
  -서울에 심부름 간 둘째로부터 기별이 왔느냐?
  -이 정도 먹어 가지고는 간에 기별도 안 가겠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07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60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675
3260 개개다(개기다) 風磬 2006.09.13 15874
3259 겻불 風磬 2006.09.14 15871
3258 께 / 게 바람의종 2010.08.27 15862
3257 알토란 같다 바람의종 2008.01.24 15860
3256 ‘뜨더국’과 ‘마치다’ 바람의종 2010.04.02 15846
3255 쥐어 주다, 쥐여 주다 바람의종 2008.09.23 15815
3254 ‘감투’와 ‘망탕’ 바람의종 2010.03.23 15805
3253 빗어 주다, 빗겨 주다 바람의종 2009.10.06 15762
3252 유돌이, 유도리 바람의종 2011.12.04 15652
3251 안치다, 안히다 / 무치다, 묻히다 바람의종 2009.05.01 15614
3250 끝발, 끗발 바람의종 2010.03.17 15614
3249 똔똔 / 도긴 개긴 바람의종 2012.07.13 15564
3248 고명딸 風磬 2006.09.16 15509
3247 '꼴' 띄어쓰기 바람의종 2012.09.19 15500
3246 흡인력, 흡입력 바람의종 2009.11.12 15494
3245 여자 팔자 뒤웅박 팔자 바람의종 2008.01.26 15489
3244 않는, 않은 바람의종 2008.09.29 15470
3243 잎, 잎새, 잎사귀, 이파리 바람의종 2009.10.02 15450
3242 곤죽 바람의종 2010.04.17 15426
3241 한번과 한 번 1 바람의종 2010.08.14 15409
3240 단박하다, 담박하다 / 담백하다, 담박하다 바람의종 2012.04.23 15408
3239 휫바람, 휘바람, 휘파람 바람의종 2009.06.30 1539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