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4.09 19:50

가입시더

조회 수 6607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가입시더

고장말

‘-입시더/-읍시더’는 경상도 말로, 아주높임·예사높임에 두루 쓰인다. 표준어 ‘-읍시다’와 ‘-오/-소’(가오·먹소)에 대응한다. “할매요, 밥 안 묵었으믄 함께 묵읍시더.”(<부르는 소리> 김향숙) “지발 당분간은 서로 못 본 듯 사입시더.”(<영웅시대> 이문열) ‘-입시더/-읍시더’는 행동을 같이할 것을 청할 때 쓰는데, ‘-입·-읍’이 탈락한 ‘-시더’가 경북 북부에서 쓰이기도 한다. “아이, 그 여 얼매 안 되니더. 여 바로 뒤에 있니더. 그럼 그리 가시더.”(<한국구비문학대계> 경북편)

‘-입시더/-읍시더’에 대응하는 다른 말은 ‘-읍세다’(습세다)와 ‘-읍주’다. ‘-읍주’는 제주에서 쓰인다. “무사마씀, 나도 가삽주.” “어수다(아닙니다). 나, 나 디(같이) 갑주 뭐, 무사 난 아니 갈 말이꽈?”(<한국구비문학대계> 제주편) ‘-읍세다’는 황해·강원을 뺀 북녘에서 두루 쓰이며, 재중동포들이 많은 만주 쪽에서도 흔히 찾아볼 수 있다. “제꺽 찍으시우, 그리구 새 집에 갑세다.”(<이사가는 날> 최학수·재북)

‘-읍세다’와 ‘-읍주’는 아주높임 자리에, ‘-읍세’는 예사높임 자리에 쓰인다. “날래 들어가서 아침이나 먹읍세.”(<고려백정의 사위> 김용식·재중) ‘-읍세’에 대응하는 전라말이 ‘-드라고/-더라고’다. “이, 돌른(훔친) 물건 아닝께 싸게 묵드라고.”(<태백산맥> 조정래)

이길재/겨레말큰사전 새어휘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99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55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514
2864 바바리 바람의종 2009.03.23 7560
2863 뻐꾸기 바람의종 2009.03.24 7126
2862 모두에게? 바람의종 2009.03.25 5396
2861 으디 갔습메? 바람의종 2009.03.26 7763
2860 모디리 바람의종 2009.03.27 6670
2859 크레용, 크레파스 바람의종 2009.03.29 9233
2858 공작 바람의종 2009.03.30 5693
2857 서로 바람의종 2009.03.30 5748
2856 집이 갔슴둥? 바람의종 2009.03.31 6889
2855 빌레 바람의종 2009.03.31 6698
2854 펜치 바람의종 2009.04.03 9392
2853 올빼미 바람의종 2009.04.03 7641
2852 스스로를? 바람의종 2009.04.09 5924
» 가입시더 바람의종 2009.04.09 6607
2850 샹재 바람의종 2009.04.13 7037
2849 삐라·찌라시 바람의종 2009.04.13 6309
2848 비둘기 바람의종 2009.04.14 6151
2847 험담 바람의종 2009.04.30 6744
2846 디려놓곡 내여놓곡 바람의종 2009.04.30 5684
2845 똥금이 바람의종 2009.05.01 6611
2844 파스 바람의종 2009.05.01 12967
2843 따오기 바람의종 2009.05.02 815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