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9.02.03 18:28

오리

조회 수 6609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오리

짐승이름

솟대에 올라앉은 새는 오리다. 오리는 물과 뭍을, 하늘을 자유롭게 넘나들면서 살아가기에 독특한 상징을 얻은 것인가. 한마디로 오리는 물새다. 물은 농사를 짓는 데 삶의 결정적인 열쇠였다. 시기에 알맞은 물이 있어야 풍년을 기약할 수도, 나라 힘을 기를 수도 있었다. 그래서인가 솟대에서처럼 오리는 다분히 물 신앙의 상징처럼 쓰였을 것이다.

오리는 다가올 재해를 미리 막는 영험한 구실을 하기도 한다. 풍수가들이 이르는바, 배가 떠가는 행주형(行舟形)의 땅에서라면, 불안정한 배에 안정을 더하고자 배의 돛대에 값하는 솟대를 세우는 일이 가끔 있었다.

불이 나도 그러하다. 또 오리는 해독력이 아주 강하다. 시궁창에서도 썩은 먹이를 찾아 먹으면서 살아가기에 사람들은 오리 고기를 즐겨 먹는다. 불포화 지방이기도 해서 그런다지만.

옛글에 오리는 올히(두시언해)였다. 조선관역어에는 아계(我係)였다. 한마디로 위를 뜻하는 ‘올’에 접미사 ‘-이’가 녹아붙어 이루어진 말로 보인다. ‘오라버니, 올벼’의 ‘올’이 그러한 경우라고 할 것이다. ‘올-옫-옷-웃-욷-우게’의 낱말겨레를 떠올릴 수 있기에 그러하다. 방언으로 위(上)를, 옷을 우게라고도 이르는바, 이것이 바로 아가(올기)와 가장 가까운 모습이다. 압록강을 얄루장이라 한다. 여기 얄루도 올과 무관하지 아니하다. 저 높은 하늘을 바라 솟대만큼 목이 길었느니.

정호완/대구대 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09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65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610
2908 뽐뿌와 지르다 바람의종 2008.12.06 10327
2907 너구리 바람의종 2008.12.07 7322
2906 퍼주기 바람의종 2008.12.08 6877
2905 너한질라 바람의종 2008.12.10 6081
2904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091
2903 핸드폰 바람의종 2008.12.12 7851
2902 두더지 바람의종 2008.12.15 6401
2901 별명 바람의종 2008.12.17 6519
2900 보로미 바람의종 2008.12.18 7149
2899 ‘자꾸’와 ‘지퍼’ 바람의종 2008.12.18 8141
2898 사자 바람의종 2008.12.26 5791
2897 법대로 바람의종 2008.12.26 5472
2896 니서껀 내서껀 바람의종 2008.12.27 6950
2895 오장이 바람의종 2008.12.28 7270
2894 빵꾸 바람의종 2009.02.02 8688
» 오리 바람의종 2009.02.03 6609
2892 세금 폭탄 바람의종 2009.02.04 5518
2891 날마닥, 날마당 바람의종 2009.02.05 6525
2890 믜운이 바람의종 2009.02.07 8948
2889 그룹사운드 바람의종 2009.02.08 6880
2888 기러기 바람의종 2009.02.10 6743
2887 강남 바람의종 2009.02.12 651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