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9.03 12:06

외래어란?

조회 수 6966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외래어란?

외래어

‘볼펜·컵·시디·컴퓨터·스피커·마우스 …’ 들은 책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들이다. 큰도시에는 ‘빌딩’들이 즐비하고 ‘버스’와 ‘택시’가 달리며, 농촌에서는 ‘콤바인’과 ‘트랙터’가 바삐 움직인다. 새삼스레 우리 생활에서 외래어가 흔히 쓰인다는 걸 깨닫게 된다.

국어사전에서는 외래어를 “외국에서 들어온 말로 국어처럼 쓰이는 단어”로 푼다. 그런데 ‘국어처럼’ 쓰인다는 게 무슨 뜻일까? 국어 문장 속에서 국어 낱말처럼 쓰인다는 뜻으로 이해할 수 있다. 곧 ‘아이스크림’이라는 말을 쓸 때 ‘나는 먹고 싶다 아이스크림’이라는 영어식 어순을 부려 쓰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외래어는 발음이 원어와 달라지게 되고, 때로 뜻도 달라진다. 같은 ‘cut’이지만 ‘커트’는 머리 모양이고 ‘컷’은 영상 용어다. 그래서 학자들은 외래어가 어느 정도 국어화된 것이라 본다. 국어화가 끝난 것은 ‘귀화어’라고 부르며, ‘담배·남포·고무·가방’ 같은 보기를 든다. 국어화가 덜 된 말은 ‘외국어’라 일컫는다.

일반 언중은 ‘외래어’라고 하면 국어처럼 된 것인지 아닌지를 따지지 않는다. 그냥 우리말이 아닌 듯하면 외래어라 일컫는다. 국어사전이 언중의 언어 지식을 담는 것이므로 이런 뜻풀이가 첫째 것으로 실려야 할 것이다. ‘다른 언어에서 들어와 우리말이 아닌 것으로 여겨지는 낱말’ 정도가 어떨까.

김선철/국어원 학예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87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44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412
2974 고소마리 바람의종 2009.03.23 5174
2973 고수레 風磬 2006.09.18 20628
2972 고슬고슬, 가슬가슬 / 찰지다, 차지다 바람의종 2010.06.08 11062
2971 고양이 바람의종 2008.01.12 7904
2970 고양이 바람의종 2008.10.11 6555
2969 고양이 살해, 최순실의 옥중수기 風文 2022.08.18 1151
2968 고육지책, 궁여지책 바람의종 2012.09.28 11711
2967 고장말은 일상어다 / 이태영 바람의종 2007.07.24 22548
2966 고주망태 바람의종 2010.03.30 13115
2965 고주망태 風磬 2006.09.21 14360
2964 곤색 바람의종 2008.02.02 9643
2963 곤욕과 곤혹 바람의종 2010.04.30 9387
2962 곤조 바람의종 2008.02.02 8858
2961 곤죽 바람의종 2010.04.17 15504
2960 곤죽 風磬 2006.09.29 12373
2959 곤혹과 곤욕 바람의종 2008.04.17 5782
2958 곤혹스런 바람의종 2008.07.28 5232
2957 곧은밸 바람의종 2008.04.13 6645
2956 골덴 바람의종 2010.04.06 11784
2955 바람의종 2008.07.28 6335
2954 곰비임비 바람의종 2009.11.29 8404
2953 공공 재산, 전화 風文 2021.10.08 78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