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19 09:01

궂긴인사

조회 수 7479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궂긴인사

북녘말

“상주님을 그대루 보여서 쓰겠소. 새루 궂긴인사하고 보입시다.”(홍명희, 림꺽정)

‘궂긴인사’는 상주를 위문하는(조문) 말이다. 이는 홍명희의 <임꺽정>에도 쓰인 말이니 굳이 북녘말이라 할 것은 없겠다. 다만 남녘에서는 ‘궂긴 인사’처럼 띄어서 쓰고, 한 낱말로 보지 않는다는 차이가 있다. ‘한 낱말로 보느냐, 두 낱말로 보느냐’는 국어사전에 올랐느냐와 관련이 있다. 국어사전은 보통 하나의 낱말을 올림말(표제어)로 삼는 까닭에 두 낱말은 실리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최근 <겨레말큰사전> 새말 조사 과정을 보면, 남북 모두 같은 소설(임꺽정)을 조사했지만, 북녘에서만 ‘궂긴인사’를 새 낱말로 봤다.

궂긴인사는 ‘궂기다’와 ‘인사’가 합친 말이다. ‘궂기다’는 남북 사전에 두루 실렸지만, 남녘에서 널리 쓰이지는 않는다. <한겨레> 신문에서는 2003년께부터 부음·부고 대신 ‘궂긴소식’을 쓰고 있다. 그 덕에 ‘궂기다’도 꽤 알려져서 쓰이고 있음을 인터넷에서도 볼 수 있다.

‘궂기다’는 ‘돌아가시다’처럼 ‘윗사람이 죽다’를 완곡하게 이르는 뜻과 ‘일에 헤살이 들어 잘 되지 않는다’는 뜻 둘로 쓰인다. 형태만 보면, ‘궂다’에 접미사 ‘-기-’가 붙어서 ‘궂기다’가 된 것으로 여길 수 있지만, 그렇게 보기도 어렵다. ‘궂다’의 뜻이 ‘나쁘다’임을 생각할 때, 관련성이 있기는 하지만 ‘궂기다’의 의미폭이 많이 좁기 때문이다. 헤살은 ‘일을 방해하는 것’이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72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33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050
3018 사수 / 십이십이 風文 2020.05.17 1520
3017 24시 / 지지지난 風文 2020.05.16 1425
3016 선정-지정 / 얼룩빼기 황소 風文 2020.05.15 1446
3015 -분, 카울 風文 2020.05.14 1813
3014 풋 / ‘열’(10) ①, ‘열’(10) ② 風文 2020.05.10 2061
3013 백열 / 풋닭곰 風文 2020.05.09 1771
3012 표준발음, 구명동의 風文 2020.05.08 2027
3011 위탁모, 땅거미 風文 2020.05.07 1674
3010 ‘엘씨디로’ / 각출-갹출 風文 2020.05.06 2249
3009 아무 - 누구 風文 2020.05.05 974
3008 뒷담화 風文 2020.05.03 1227
3007 살인 진드기 風文 2020.05.02 1553
3006 배뱅잇굿 風文 2020.05.01 1169
3005 지슬 風文 2020.04.29 1545
3004 벌금 50위안 風文 2020.04.28 1518
3003 간판 문맹 風文 2014.12.30 24670
3002 레스쿨제라블, 나발질 風文 2014.12.29 24342
3001 휘거 風文 2014.12.05 25421
3000 CCTV 윤안젤로 2013.05.13 28507
2999 새 학기 단상 윤안젤로 2013.04.19 26099
2998 나, 본인, 저 윤안젤로 2013.04.03 24411
2997 목로주점을 추억하며 윤안젤로 2013.03.28 1997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