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27 11:55

봄맞이꽃

조회 수 5357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봄맞이꽃

풀꽃이름
 




흔히 봄이 여인의 옷자락에서부터 시작된다고들 하는데, 진정한 봄은 산과 들의 풀과 나무에서 시작된다. 노루귀·복수초·개나리·산수유 등이 봄의 전령이다. ‘봄맞이꽃’은 3월에 논둑·밭둑에서 하얗게 피어나며, 봄을 맞는다는 뜻으로 붙은 이름이다. 예전에는 어린순으로 국을 끓여 먹었다. 크기가 작아 그다지 먹음직한 먹거리라는 생각이 안 드는데, 아마도 봄의 땅기운을 마셨을 터이다. <쉽게 찾는 우리 나물>(김태정)에서는 우리가 먹는 나물만도 200가지 넘게 꼽는다.

봄맞이꽃은 가장자리가 톱니꼴인 동그란 잎이 퍼져 나가며 구릿빛을 띠어 ‘동전초’, 땅에 점점이 흩어진 매화꽃 같다고 ‘점지매’(點地梅)라고도 한다. 봄을 알리는 꽃이라는 뜻에서 ‘보춘화’로 이르기도 하나, 보춘화는 실제로 ‘춘란’을 가리킬 때가 많다.

긴장이나 고통이 꼭 나쁜 것만은 아니고 적당한 스트레스는 삶의 활력소가 된다는 얘기가 있다. 새로운 모습과 기대를 갖게 하는 봄 스트레스를 살짝 반길 일이다. 봄맞이 대청소도 있고, 봄맞이 세일도 있지만 봄맞이 꽃구경 한번 나서는 것이 어떠실지 …. 봄은 들판으로 오지만, 도시에서는 꽃시장에 먼저 온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84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44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170
3040 웃어른/ 윗집/ 위층 風文 2024.03.26 2232
3039 건강한 가족 / 국경일 한글날 風文 2020.07.18 2236
3038 금수저 흙수저 風文 2024.02.08 2237
3037 ‘엘씨디로’ / 각출-갹출 風文 2020.05.06 2249
3036 언어로 성형수술을 / 위계질서와 개인정보 風文 2020.07.09 2252
3035 ‘평어’를 쓰기로 함, 심심하다 風文 2022.11.23 2265
3034 ‘요새’와 ‘금세’ 風文 2024.02.18 2301
3033 김치 담그셨어요? 風文 2024.02.08 2309
3032 쳇바퀴 탈출법(1~3) 風文 2022.10.01 2311
3031 '사과'의 참뜻 / 사람의 짓 風文 2020.07.14 2312
3030 국방색 / 중동 風文 2020.06.24 2328
3029 수어 / 닭어리 風文 2020.07.04 2349
3028 퇴화되는 표현들 / 존댓말과 갑질 風文 2020.07.07 2354
3027 평어 쓰기, 그 후 / 위협하는 기록 風文 2022.12.07 2357
3026 “영수증 받으실게요” 風文 2024.01.16 2382
3025 사라진 아빠들 / 피빛 선동 風文 2020.07.19 2384
3024 鬱陶項(울돌목) / 공짜 언어 風文 2020.07.05 2387
3023 ‘쫓다’와 ‘쫒다’ 風文 2023.07.01 2404
3022 포퓰리즘 / 특칭화의 문제 風文 2020.07.15 2410
3021 ‘끄물끄물’ ‘꾸물꾸물’ 風文 2024.02.21 2415
3020 말의 토착화 / 국가와 교과서 風文 2020.07.20 2418
3019 프레임 설정 風文 2022.02.06 243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