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27 07:16

열 딸라

조회 수 8142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열 딸라

북녘말

“열 딸라입니다!” 금강산 관광을 할 때 상점에서 들을 수 있는 말이다. 이 말을 남쪽 관광객이 들으면 금방 알아듣지 못한다. 미국 돈을 남녘에서는 ‘달러’로 적지만 일반적인 발음은 [딸러] 혹은 [딸라]로도 하기에 별 차이가 없는데도 잘 이해하지 못한다. “십 딸라입니다”라고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수사에는 고유어 수사와 한자어 수사가 있는데, 그 쓰임에 구별이 있다. 고유어 앞에는 원칙적으로 고유어 수사만 쓰이고, 한자어 앞에는 고유어 수사와 한자어 수사가 모두 쓰인다. ‘고양이 4마리’를 ‘고양이 사 마리’로 읽지 않고, ‘네 마리’로 읽는다. 다만, 남쪽에서는 단위가 20이 넘는 수에서 한자어 수사를 섞어 쓰는 경향이 있다. ‘스무 마리’와 ‘이십 마리’가 같이 쓰인다.

한자어 앞에 쓰인 고유어 수사와 한자어 수사는 그 뜻이 구별된다. ‘책 5권’을 ‘책 다섯 권’으로 말하면 ‘책의 수량’이 되고, ‘책 오 권’으로 말하면 ‘책의 순서’가 된다. 한자어 단위명사 앞에서 구별해서 쓰는 것은 남북이 같다.

남북이 차이가 나는 것은 외래어 단위명사를 쓰는 상황이다. 이런 단위명사로는 ‘달러, 유로’와 같은 화폐 단위와 ‘미터, 센티미터’와 같은 서양의 단위가 있다. 남녘에서는 이런 단위명사 앞에서 주로 한자어 수사를 쓰는데, 북녘에서는 한자어 단위명사와 마찬가지로 쓰고 있다. 그래서 ‘열 딸라’와 ‘십 달러’의 차이가 있다. 북녘에서 ‘10m’를 ‘십 미터’로 읽는지, ‘열 미터’로 읽는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화폐 단위에서는 한자어 단위명사와 같은 방식을 쓰고 있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59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15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106
3084 시말서 바람의종 2007.10.20 7286
3083 사투리와 토박이말 바람의종 2007.10.20 10067
3082 신병 바람의종 2007.10.21 7138
3081 경제성 바람의종 2007.10.21 9753
3080 십팔번 바람의종 2007.10.22 7031
3079 외국어와 새말 바람의종 2007.10.22 10188
3078 애매하다 바람의종 2007.10.23 9114
3077 알타이말 바람의종 2007.10.23 9977
3076 정종 바람의종 2007.10.24 9148
3075 촌지 바람의종 2007.10.25 8170
3074 정서적 의미 바람의종 2007.10.25 9784
3073 할증료 바람의종 2007.10.26 7589
3072 사라져가는 언어(1) 바람의종 2007.10.26 6542
3071 맨정신/맨흙 바람의종 2007.10.26 8139
3070 결초보은 바람의종 2007.10.27 10145
3069 ‘강한 바람’만인가? 바람의종 2007.10.27 7161
3068 금수강산 바람의종 2007.10.28 10505
3067 사전과 방언 바람의종 2007.10.28 6106
3066 금지옥엽 바람의종 2007.10.31 8153
3065 새말과 사전 바람의종 2007.10.31 6214
3064 사라져가는 언어(2) 바람의종 2007.10.31 7274
3063 엎어지다와 자빠지다 바람의종 2007.10.31 81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