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13 03:09

군말

조회 수 7363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군말

언어예절

음식과는 상관없이 때는 불로서, 요즘의 난방 에너지가 군불이다. 군일·군것질 따위는 일자리 늘리기 또는 큰 사업거리가 됐고, 사람따라 군살 빼는 일로 시끄러운 시절이다. 군말도 쓰임이 폭넓다. 정당한 말이 듣는이에 따라서는 군소리, 곧 불평으로 들을 때가 있다. 이때 인격·소통 문제가 불거진다. 말본에서, 제자리 아닌 데 가져다 쓴 말을 ‘군더더기’ ‘군글자’라고 한다.

“몸에 오른 열이 아직 식지가 않았다/ 도대체가 말도 안 된단 말이에요/ 그 방은 아무리 불을 때어도 따뜻하지를 않다 …”

숨을 고르고 강조하는 효과가 있어 여기서 군더더기를 짚어낼 이는 많지 않을 성싶다.

흔히 베풀어 설명할 때 “생각건대, 예컨대, 아마, 실로, 비록, 끝으로, 듣건대, 말하자면, 이른바 …” 들을 끼워넣는다. 나아가 “에, 음, 저기, 보세요, 어떻습니까, 그렇잖습니까 여러분! …”에다 침묵이나 몸짓·눈짓들도 잘만 쓰면 말을 아끼고 성검도 볼 수 있다.

“그러나, 그리고, 한편, 그래서, 따라서, 그러니, 아울러, 이에 따라, 이와 관련해 …” 따위 이음말(접속어)들도 흔히 쓴다. 문제는 잦을수록 글이 늘어지고, 괜찮은 말도 값싸게 들리게 하거나 군말로 만들 때가 많다. 듣는이나 읽는이가 불편해진다.

전날, 일노래에서 ‘메기는 소리’를 군말이라고 했다. 듣는이는 짧은 군말에도 ‘예이, 그렇지, 얼씨구 …’처럼 추임새를 준다. 연설에서도 사설이 길어서는 옳소나 손뼉치기 같은 반응을 얻기 어렵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45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95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955
3106 개헌을 한다면 風文 2021.10.31 1178
3105 소통과 삐딱함 風文 2021.10.30 1161
3104 말의 미혹 風文 2021.10.30 1259
3103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289
3102 언어와 인권 風文 2021.10.28 1138
3101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346
3100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234
3099 언어의 혁신 風文 2021.10.14 1165
3098 재판받는 한글 風文 2021.10.14 910
3097 말의 권모술수 風文 2021.10.13 708
3096 고령화와 언어 風文 2021.10.13 855
3095 어버이들 風文 2021.10.10 873
3094 상투적인 반성 風文 2021.10.10 817
3093 정치인들의 말 風文 2021.10.08 782
3092 공공 재산, 전화 風文 2021.10.08 774
3091 편견의 어휘 風文 2021.09.15 1103
3090 비판과 막말 風文 2021.09.15 1044
3089 군인의 말투 風文 2021.09.14 772
3088 무제한 발언권 風文 2021.09.14 765
3087 언어적 주도력 風文 2021.09.13 782
3086 악담의 악순환 風文 2021.09.13 821
3085 법률과 애국 風文 2021.09.10 75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