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13 03:06

사리원과 원효

조회 수 7294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리원과 원효

땅이름

땅이름에 쓰이는 ‘새’는 여러 가지 의미를 갖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두 마을 사이에 있는 마을을 ‘새말’이라 부르며, 새로 만든 보금자리를 뜻하는 ‘새터’가 있다. 새말이나 새터는 보편적으로 쓰이는 땅이름이기에 전국 각지에서 찾아볼 수 있다. ‘새’의 옛말은 ‘삿’이나 ‘사‘△ㅣ’ ’였다. ‘사‘△ㅣ’ ’는 ‘사이’를 거쳐 ‘새’로 변화한다. 또한 ‘삿’은 ‘살’을 거쳐 ‘사리’로 변화해 갈 수 있다.

‘사리’의 다른 형태로는 ‘사라’가 있다. <삼국유사> ‘원효불기’ 조항에는 재미있는 기사가 있다. 원효의 세속 성씨는 설씨로 본디 압량군 사람이었다. 압량군은 지금의 경북 경산으로 후에 삽량과 압량이 나누어졌는데, 삽량은 지금의 양산이다. <삼국유사>에서는 삽량 사람인 원효가 ‘사라수’ 아래서 태어났는데, 그의 어머니가 만삭이 되어 집에 귀가하지 못한 채 갑자기 출산하게 된 데서 붙은 이름이라고 하였다. 또한 이 책에서는 원효는 스스로 법명을 지었는데 시골말(향언)로 ‘새벽’을 뜻한다고 하였다.

원효의 출생지가 ‘사라’였고 그의 법명이 ‘새벽’을 뜻한다고 할 때, ‘사라’는 ‘새’에 해당하는 고대어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양주동이 밝혔듯이 ‘향가’를 ‘사뇌가’라 부른 까닭도 동쪽을 뜻하는 ‘새’와 관련을 지었음을 고려할 때, ‘새’의 여러 의미인 ‘동쪽’, ‘사이’, ‘새로움’의 뜻을 갖는 ‘사라’가 있었으며, 이 말은 ‘사라곡’(전남 광양)이나 ‘사리원’ 등과 같이 땅이름에 오래도록 남아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25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77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776
3106 갓달이 바람의종 2008.10.07 7036
3105 강남 바람의종 2009.02.12 6518
3104 강남 제비 바람의종 2007.04.29 10980
3103 강냉이 바람의종 2008.06.15 9488
3102 강냉이, 옥수수 바람의종 2011.10.27 9840
3101 강다짐 바람의종 2010.02.25 9804
3100 강쇠 바람의종 2008.10.17 7911
3099 강술 바람의종 2010.06.08 9578
3098 강짜 바람의종 2008.12.07 8269
3097 강추위 바람의종 2009.12.18 7695
3096 바람의종 2008.09.19 7433
3095 개개다(개기다) 風磬 2006.09.13 16035
3094 개고기 수육 바람의종 2012.05.02 11664
3093 개구리밥 바람의종 2008.07.17 6048
3092 개구지다 바람의종 2007.12.20 8587
3091 개나발 바람의종 2008.02.21 10235
3090 개념의 차이, 문화어 風文 2022.06.13 1275
3089 개떡같다 바람의종 2008.02.21 10779
3088 개망초 바람의종 2008.07.21 5220
3087 개미티 file 바람의종 2009.09.27 6196
3086 개발과 계발 바람의종 2010.11.03 12058
3085 개밥바라기 바람의종 2010.01.15 825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