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7 05:11

공암진

조회 수 7666 추천 수 1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공암진

땅이름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고려 공민왕 때 공암진에서 평민 두 형제가 함께 길을 가다가 아우가 황금 두 덩이를 주워서 형에게 하나를 주었는데, 동생이 갑자기 남은 금을 물에 던지므로 형이 괴이하게 여겨 그 까닭을 물으니, “제가 평소 형을 우애하였는데, 금을 나누어 가진 뒤 형님을 꺼리는 마음이 생겼습니다. 이것은 상서롭지 못한 물건이니 강에 던지는 것이 낫겠습니다”라고 대답하므로, 형도 아우에게 받은 금을 물에 던졌다는 이야기가 있다. 이 이야기가 남아 있는 공암진은 지금의 서울 강서구로 옛날 이름은 제차파의현(齊次巴衣縣)이다. 이 이름에서 ‘파의’는 ‘바위’를 뜻하는 말인데, 한자를 빌려 쓸 때는 ‘파의’ 또는 ‘파혜’(波兮)로 표기하였다. <삼국사기> 지리지의 ‘별사파의’, ‘구사파의’, ‘밀파의’ 등의 땅이름이 이에 해당한다. 이런 이름들은 대체로 ‘고개’를 뜻하는 ‘현’(峴)이나 ‘바위’를 뜻하는 ‘암’(巖)으로 바뀌었다.

‘바위’의 옛말은 ‘바회’다. <감산사미륵보살광배명>에는 ‘동해유반변’(東海攸反邊)이라는 구절이 나오는데, 이 때의 ‘유반’도 ‘바회’다. 유(攸)는 ‘바 유’로 ‘소’(所)와 같은 뜻이며, 외(外)는 한자의 음을 표기한 것이다. ‘마음’을 ‘심음’(心音), ‘가을’을 ‘추찰’(秋察)로 표기하듯이, 한자를 빌려 우리말 단어를 표기할 때 뜻을 중심으로 하고 음을 덧붙이는 원리를 따른 것이다.

사람의 심성이 땅을 닮아가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인데, 강산이 변하여 공암진의 바위와 형제투금 전설을 다시 찾는 일이 쉽지는 않아 보인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06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59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583
3128 갈기갈기, 갈래갈래, 갈갈이, 갈가리 바람의종 2009.10.28 10696
3127 갈께/갈까 바람의종 2008.09.20 6853
3126 갈대 바람의종 2008.05.12 6503
3125 갈대와 억새 바람의종 2010.07.30 9379
3124 갈두·갈헌 바람의종 2008.08.27 7989
3123 갈등 바람의종 2007.05.29 6185
3122 갈매기 바람의종 2009.05.06 6617
3121 갈매기살, 제비추리, 토시살 바람의종 2008.11.16 8662
3120 갈치, 적다, 작다 바람의종 2008.10.25 8365
3119 감감소식 바람의종 2007.04.29 8097
3118 감동·어루동 바람의종 2008.07.04 5780
3117 감로수 바람의종 2007.05.29 7575
3116 감안하다 바람의종 2007.10.12 15071
3115 감장이 바람의종 2008.10.30 6593
3114 감질나다 바람의종 2010.08.03 12702
3113 감질맛, 감칠맛 바람의종 2012.12.24 30431
3112 갑작사랑 바람의종 2008.05.05 7334
3111 갑작힘 바람의종 2008.04.30 8144
3110 갑절과 곱절 바람의종 2010.03.09 9678
3109 갑종 근로소득세 바람의종 2007.05.30 11301
3108 갑질 風文 2024.03.27 1519
3107 값과 삯 바람의종 2007.12.26 587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