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4 06:21

위례성과 아리수

조회 수 8769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위례성과 아리수

백제시대 서울은 ‘위례성’이라 불렸다. <삼국사기> 백제 본기에서는 온조 임금이 하남 위례성에 도읍을 정했다는 기록이 나오며, ‘위례’는 때로 ‘욱리’(郁里), ‘아리’(阿利)로 불렸다. 이로부터 한강이 ‘욱리’ 또는 ‘아리’로 불리기도 하였다.

양주동은 <고가연구>에서 ‘아리’, ‘욱리’를 ‘하늘’의 고어인 ‘한 ㅂ·ㄹ’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 바 있다. 우리말에서 ‘ㅂ’은 입술가벼운소리[ㅸ]를 거쳐 탈락하는 경우가 많으니 ‘한ㅂ·ㄹ’이 ‘한ㅇ·ㄹ’ 곧 ‘하늘’로 변화하는 과정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하늘’의 ‘한’은 ‘큰 것’을 뜻하는 말로 한강의 ‘한’도 그 뜻이 같다.

‘아리’가 ‘ㅂ·ㄹ’에서 비롯된 말이었을 가능성은 고구려의 수도인 국내성의 다른 이름에서도 확인된다. <삼국사기> 지리지에는 국내성의 다른 이름으로 ‘위나암성’ 또는 ‘불이성’이 있었음을 기록하고 있는데, ‘불이’는 ‘ㅂ·ㄹ’을 소리대로 표기한 것이며, ‘위나암’은 ‘위례’와 같은 꼴의 말이다. ‘ㅂ·ㄹ’은 ‘ㅇ·ㄹ’ 을 거쳐 ‘아리’, ‘위례’, ‘어리’, ‘오리’ 등의 다양한 땅이름으로 남는다. 호태왕비의 ‘어리성, 오리성, 야리성’이나 황해 봉산의 ‘오리포’, 그리고 ‘압록강’ 등도 이 말과 관련이 있다. ‘어리성’이나 ‘오리포’, ‘압록강’ 등이 ‘아리’에 한자말 ‘성’, ‘포’, ‘강’ 등이 붙은 말임을 고려한다면, ‘아리수’는 ‘아리’에 물을 뜻하는 ‘수’가 붙은 말임을 짐작할 수 있다.

‘아리수’가 서울의 수돗물 이름으로 되살아 난 것도 재미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30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87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797
3128 ‘개덥다’고? 風文 2023.11.24 1350
3127 성인의 세계 風文 2022.05.10 1351
3126 “영수증 받으실게요” 風文 2024.01.16 1352
3125 대화의 어려움, 칭찬하기 風文 2022.06.02 1353
3124 지슬 風文 2020.04.29 1357
3123 국가 사전 폐기론, 고유한 일반명사 風文 2022.09.03 1358
3122 비는 오는 게 맞나, 현타 風文 2022.08.02 1364
3121 아카시아 1, 2 風文 2020.05.31 1367
3120 웰다잉 -> 품위사 風文 2023.09.02 1367
3119 ‘도와센터’ ‘몰던카’ 風文 2024.01.16 1367
3118 가던 길 그냥 가든가 風文 2024.02.21 1367
3117 한자를 몰라도 風文 2022.01.09 1371
3116 개양귀비 風文 2023.04.25 1376
3115 살인 진드기 風文 2020.05.02 1378
3114 ‘~면서’, 정치와 은유(1): 전쟁 風文 2022.10.12 1379
3113 ‘시월’ ‘오뉴월’ 風文 2024.01.20 1382
3112 벌금 50위안 風文 2020.04.28 1384
3111 올가을 첫눈 / 김치 風文 2020.05.20 1384
3110 김치 담그셨어요? 風文 2024.02.08 1384
3109 정치의 유목화 風文 2022.01.29 1396
3108 독불장군, 만인의 ‘씨’ 風文 2022.11.10 1397
3107 어쩌다 보니 風文 2023.04.14 139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