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4 06:21

위례성과 아리수

조회 수 8777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위례성과 아리수

백제시대 서울은 ‘위례성’이라 불렸다. <삼국사기> 백제 본기에서는 온조 임금이 하남 위례성에 도읍을 정했다는 기록이 나오며, ‘위례’는 때로 ‘욱리’(郁里), ‘아리’(阿利)로 불렸다. 이로부터 한강이 ‘욱리’ 또는 ‘아리’로 불리기도 하였다.

양주동은 <고가연구>에서 ‘아리’, ‘욱리’를 ‘하늘’의 고어인 ‘한 ㅂ·ㄹ’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한 바 있다. 우리말에서 ‘ㅂ’은 입술가벼운소리[ㅸ]를 거쳐 탈락하는 경우가 많으니 ‘한ㅂ·ㄹ’이 ‘한ㅇ·ㄹ’ 곧 ‘하늘’로 변화하는 과정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하늘’의 ‘한’은 ‘큰 것’을 뜻하는 말로 한강의 ‘한’도 그 뜻이 같다.

‘아리’가 ‘ㅂ·ㄹ’에서 비롯된 말이었을 가능성은 고구려의 수도인 국내성의 다른 이름에서도 확인된다. <삼국사기> 지리지에는 국내성의 다른 이름으로 ‘위나암성’ 또는 ‘불이성’이 있었음을 기록하고 있는데, ‘불이’는 ‘ㅂ·ㄹ’을 소리대로 표기한 것이며, ‘위나암’은 ‘위례’와 같은 꼴의 말이다. ‘ㅂ·ㄹ’은 ‘ㅇ·ㄹ’ 을 거쳐 ‘아리’, ‘위례’, ‘어리’, ‘오리’ 등의 다양한 땅이름으로 남는다. 호태왕비의 ‘어리성, 오리성, 야리성’이나 황해 봉산의 ‘오리포’, 그리고 ‘압록강’ 등도 이 말과 관련이 있다. ‘어리성’이나 ‘오리포’, ‘압록강’ 등이 ‘아리’에 한자말 ‘성’, ‘포’, ‘강’ 등이 붙은 말임을 고려한다면, ‘아리수’는 ‘아리’에 물을 뜻하는 ‘수’가 붙은 말임을 짐작할 수 있다.

‘아리수’가 서울의 수돗물 이름으로 되살아 난 것도 재미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42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93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914
3128 지도자의 화법 風文 2022.01.15 1439
3127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중소기업 콤플렉스 風文 2022.01.13 1318
3126 주권자의 외침 風文 2022.01.13 1311
3125 마녀사냥 風文 2022.01.13 1281
3124 자백과 고백 風文 2022.01.12 1201
3123 오염된 소통 風文 2022.01.12 1312
3122 공화 정신 風文 2022.01.11 1429
3121 띄어쓰기 특례 風文 2022.01.11 1622
3120 올바른 명칭 風文 2022.01.09 1004
3119 한자를 몰라도 風文 2022.01.09 1376
3118 일고의 가치 風文 2022.01.07 1050
3117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1.07 1345
3116 공적인 말하기 風文 2021.12.01 1280
3115 더(the) 한국말 風文 2021.12.01 1133
3114 지명의 의의 風文 2021.11.15 1415
3113 유신의 추억 風文 2021.11.15 1237
3112 주어 없는 말 風文 2021.11.10 1108
3111 국민께 감사를 風文 2021.11.10 1235
3110 방언의 힘 風文 2021.11.02 1337
3109 평등을 향하여 風文 2021.11.02 1524
3108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선한 기업이 성공한다 風文 2021.10.31 1038
3107 외부인과 내부인 風文 2021.10.31 13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