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10 16:14

버들과 땅이름

조회 수 7930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버들과 땅이름

땅이름에 나무를 뜻하는 말이 들어 있는 경우는 비교적 많다. 나무 가운데 가장 많은 것은 ‘잣나무’와 ‘소나무’다. 잣바우덕·잣방산·잣밭등·잣밭골·잣고개 등은 ‘잣’을 고유어로 나타낸 것이며, 백촌리·백곡·백성동 등은 ‘잣’의 한자어 ‘백’(柏)을 쓴 것이다. 소나무와 관련된 땅이름도 비교적 많다. ‘솔고개·솔모루’ 등이 그것이며, ‘송악’(松嶽)에도 소나무를 뜻하는 한자 ‘송’(松)이 들어 있다.

그러나 ‘송악’의 ‘송’이 ‘소나무’에서 유래된 것인지는 알 수 없으며, ‘괴산’(槐山)에 들어 있는 ‘괴’도 한자의 본뜻인 ‘홰나무’에서 온 말인지는 확인하기 어렵다. 땅이름의 유래를 확인하려면, 그런 이름이 붙은 까닭을 짐작할 만한 충분한 단서가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버들’와 관련된 이름을 찾는 일도 쉽지 않다. 버드나무는 우리나라 각지에 분포하며, 민요나 옛시조에도 자주 등장하는 나무인데도 그와 관련된 땅이름을 찾기가 쉽지 않은 까닭은 무엇일까? 이와 관련한 추론 가운데 하나는 ‘버드나무’가 산스크리트어에서 왔기 때문이라는 얘기다. <이재집>에는 산스크리트어에서 버들가지를 ‘비탁가지’라고 하였다고 풀이한 바 있다. 평양을 ‘유경’(柳京)이라 한 것과 충남 해미의 개심사 들머리 ‘버드실’처럼 일부 땅이름에 ‘버들’이 나타나기는 하지만, “묏버들 가려 꺾어 보내노라 님의 손에”라는 정감 어린 시조에도 나오는 버드나무가 땅이름에 덜 쓰이는 까닭은 땅이름의 발달 과정에서 외래어가 덜 쓰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17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74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735
3149 가차없다 바람의종 2007.04.28 10522
3148 가책 바람의종 2007.05.25 11447
3147 가파르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2.07 8505
3146 가히·논개② 바람의종 2008.04.23 9617
3145 각각 / 씩 바람의종 2010.02.28 8088
3144 각광 바람의종 2007.05.28 5590
3143 각둑이, 깍둑이, 깍두기, 깍뚜기 바람의종 2009.11.09 14338
3142 각시취 바람의종 2008.04.29 7129
3141 각축 바람의종 2007.05.28 6012
3140 간(間)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8.12.27 11521
3139 간디·무작쇠 바람의종 2008.06.18 6376
3138 간이 부었다 바람의종 2007.12.26 11756
3137 간절기 바람의종 2012.05.11 12123
3136 간지 바람의종 2009.03.03 8249
3135 간지 바람의종 2010.08.03 9549
3134 간지는 음력 바람의종 2010.01.20 13331
3133 간지럽히다 바람의종 2009.02.12 9366
3132 간지르다, 간질이다 바람의종 2009.08.03 8553
3131 간판 문맹 風文 2014.12.30 24331
3130 갈가지 바람의종 2009.07.30 7884
3129 갈갈이, 갈가리 바람의종 2008.10.30 741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