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8 14:19

일터 말

조회 수 9452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일터 말

집안을 넘어서면 일터와 일자리와 일벗이 있다. 사회를 꾸리는 온갖 동아리가 여기 든다. 예나 오늘이나, 개인·경영자, 대선후보랄 것 없이 일자리 만들기를 첫손으로 꼽는데, 집안·사원·백성을 먹여 살리는 일인 까닭이다. 일자리·일터·일벗과 거래하는 이가 ‘손님’이다. 손님은 호칭·지칭 두루 쓰는 말이고, ‘고객’은 지칭일 뿐인데, 거기다 ‘님’을 붙여 부른다. ‘님’은 아무 말에나 붙어서도 그를 높이는 구실을 하는 부닥방망이와 같다.

일터 말은 비교적 쉽다. 직책·직위·이름을 부르면 되는 까닭이다. 일본 등 직책·직위만 생짜로 부르는 쪽도 있는데, 우리완 맞지 않아서 기분이 껄끄러워지고 정나미가 떨어진다. 일터에서 위아래를 가리지 않고 성명·직책·직위에 ‘님’을 붙여 부르는 게 자연스럽고 편하다. 아랫사람에겐 ‘님’자를 꺼리지만, 인색해야 할 아무 까닭이 없다. 다만 ‘성+씨’, ‘이름+직책·직위+님’은 어울리지 않는다.

같은 분야에서 나이·지위·역량 따위가 앞선 이를 ‘선배’라 부른다. 격식을 깨뜨리지 않으면서도 정답고 편한 느낌을 준다. ‘동지’는 이념이 실린 말로서 부를 때는 동급 이하에 쓰이며, ‘동무’(벗)는 걸림말이지만 북녘에서는 부름말로도 쓴다. 두루 주로 ‘성’과 어울린다.

일터에서 이제 ‘미스·미스터’는 우스개가 된 듯하고, 오히려 집안말 아씨·언니·형이 어울릴 때가 있다. ‘씨·군·양’은 ‘하게체’ 상대를 부를 때 어울린다. 호칭은 부르고 듣기에 편하면 된다. 지나치거나 모자라면 껄끄럽게 되고, 껄끄러우면 뜻이 잘 통하지 않는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98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51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515
3149 가차없다 바람의종 2007.04.28 10547
3148 가책 바람의종 2007.05.25 11479
3147 가파르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2.07 8517
3146 가히·논개② 바람의종 2008.04.23 9670
3145 각각 / 씩 바람의종 2010.02.28 8120
3144 각광 바람의종 2007.05.28 5623
3143 각둑이, 깍둑이, 깍두기, 깍뚜기 바람의종 2009.11.09 14383
3142 각시취 바람의종 2008.04.29 7194
3141 각축 바람의종 2007.05.28 6035
3140 간(間)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8.12.27 11549
3139 간디·무작쇠 바람의종 2008.06.18 6400
3138 간이 부었다 바람의종 2007.12.26 11783
3137 간절기 바람의종 2012.05.11 12145
3136 간지 바람의종 2009.03.03 8287
3135 간지 바람의종 2010.08.03 9593
3134 간지는 음력 바람의종 2010.01.20 13338
3133 간지럽히다 바람의종 2009.02.12 9410
3132 간지르다, 간질이다 바람의종 2009.08.03 8577
3131 간판 문맹 風文 2014.12.30 24364
3130 갈가지 바람의종 2009.07.30 7910
3129 갈갈이, 갈가리 바람의종 2008.10.30 742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