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30 04:31

명량·울돌목

조회 수 7023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명량·울돌목

울돌목은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이 왜적을 물리친 싸움터로 이름 높다. 울돌목은 말 그대로 ‘울다’와 ‘돌다’에 땅이름을 나타내는 ‘목’이 합친 이름이다. 이처럼 땅이름에서도 일상적으로 널리 쓰이는 바탕 말이 많다. 왜군의 재침이 있던 정유년, 이순신의 <정유일기> 9월16일치에는 “갑오일 날씨 맑음. 아침 일찍 망을 보던 군사가 무려 이백여 척의 적선이 명량으로 곧바로 들어와 결진한 곳으로 향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는 기록이 들어 있다.

‘명량’(鳴梁)은 ‘울돌목’의 한자 표기다. ‘명’(鳴)이 ‘울다’에 해당하고, ‘량’(梁)은 ‘징검다리’ 또는 ‘다리’의 뜻을 가진 한자다. ‘울돌목’이 ‘명량’으로 바뀐 까닭은 ‘목’과 ‘량’이 유사하기 때문이다. ‘목’이란 통로 가운데 다른 곳으로는 빠져나갈 수 없는 좁은 부분을 가리킬 때 쓰는 말이다. 신체의 일부인 목이나 길에서 좁아지는 부분을 나타낼 때도 이 말을 쓴다. ‘울돌목’과는 달리 ‘명량’에는 ‘돌다’에 해당하는 한자가 없다. 그렇지만 토박이말 땅이름에서는 ‘돌다’를 갖고 있는 땅이름이 매우 많다. 시골 어느 곳에서나 발견할 수 있는 ‘도랑’은 ‘돌다’에 뒷가지를 만드는 ‘앙’이 붙어 만들어진 말이다.

‘울돌목’과 ‘명량’을 견주어 보았을 때, 토박이말로 이루어진 ‘울돌목’이 한자어로 이루어진 ‘명량’보다 지형과 지세를 정확하게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명량해전 당시의 급박했던 상황이 울돌목이라는 땅이름 하나만으로도 실감 있게 다가올 수 있을 것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58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01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980
3172 1.25배속 듣기에 사라진 것들 風文 2023.04.18 1301
3171 ‘부끄부끄’ ‘쓰담쓰담’ 風文 2023.06.02 1301
3170 남과 북의 협력 風文 2022.04.28 1303
3169 공적인 말하기 風文 2021.12.01 1304
3168 정치인의 애칭 風文 2022.02.08 1304
3167 도긴개긴 風文 2023.05.27 1304
3166 후텁지근한 風文 2023.11.15 1304
3165 되묻기도 답변? 風文 2022.02.11 1309
3164 ‘웃기고 있네’와 ‘웃기고 자빠졌네’, ‘-도’와 나머지 風文 2022.12.06 1310
3163 드라이브 스루 風文 2023.12.05 1312
3162 좋은 목소리 / 좋은 발음 風文 2020.05.26 1314
3161 만인의 ‘씨’(2) / 하퀴벌레, 하퀴벌레…바퀴벌레만도 못한 혐오를 곱씹으며 風文 2022.11.18 1316
3160 노랗다와 달다, 없다 風文 2022.07.29 1317
3159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IMF, 막고 품어라, 내 인감 좀 빌려주게 風文 2022.02.01 1321
3158 보편적 호칭, 번역 정본 風文 2022.05.26 1321
3157 '넓다'와 '밟다' 風文 2023.12.06 1322
3156 인쇄된 기억, 하루아침에 風文 2022.08.12 1323
3155 웃어른/ 윗집/ 위층 風文 2024.03.26 1325
3154 콩글리시 風文 2022.05.18 1328
3153 지긋이/지그시 風文 2023.09.02 1328
3152 한국어의 위상 風文 2022.05.11 1329
3151 ‘끄물끄물’ ‘꾸물꾸물’ 風文 2024.02.21 13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