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9058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얼음보숭이·에스키모


‘얼음보숭이’는 ‘아이스크림’을 뜻하는 북녘말이다. 그런데 ‘얼음보숭이’가 북녘에서 잘 쓰이지 않는다고 한다. ‘얼음보숭이’는 1981년에 나온〈현대조선말사전〉제2판에 실렸는데 1992년에 나온〈조선말대사전〉에는 실리지 않았다. 〈조선말대사전〉에는 ‘아이스크림’과 ‘에스키모’가 뜻이 같은 말로 올랐다. 다듬은 말인 ‘얼음보숭이’가 언중의 호응을 얻지 못한 까닭에 사전에서 빠진 것으로 보인다. 반면 남녘에서는 ‘아이스크림’ 대신 ‘얼음보숭이’를 쓰기도 한다. 이제 ‘얼음보숭이’는 북녘보다 남녘에서 더 많이 쓰는 말이 됐는지도 모르겠다.

‘에스키모’는 ‘북극, 캐나다, 그린란드 및 시베리아 북극 지방에 사는 인종’을 뜻하는 말인데 북녘에서 ‘아이스크림’을 가리키는 말로 쓰이는 연유는 뭘까? 북녘 학자의 설명으로, ‘에스키모’가 아이스크림의 상표 이름이었는데, 그 상품의 인기가 높다 보니 아이스크림 대신 쓰게 된 것이라고 한다. 그리고 ‘에스키모’를 일상에서 가장 많이 쓴다고 한다. 2006년 12월에 나온 〈조선말대사전〉 증보판 1권은 ‘ㄱ’부터 ‘ㅁ’까지밖에 없어서 ‘아이스크림’과 ‘에스키모’가 어떻게 정리되었는지 알 수 없다. 현재 상황을 반영한다면 ‘에스키모’ 쪽으로 정리될 수도 있겠다. 〈조선말대사전〉에 ‘아이스’가 들어간 말로 ‘아이스크림·아이스케키·드라이아이스’가 있는데, 아이스케키는 ‘얼음과자’로, ‘드라이아이스’는 ‘마른얼음’으로 다듬었다. 얼음과자는 다시 에스키모와 뜻 같은 말로 풀이하고 있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69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20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134
3216 국민께 감사를 風文 2021.11.10 1235
3215 새말과 소통, 국어공부 성찰 風文 2022.02.13 1235
3214 1도 없다, 황교안의 거짓말? 風文 2022.07.17 1237
3213 “힘 빼”, 작은, 하찮은 風文 2022.10.26 1237
3212 직거래하는 냄새, 은유 가라앉히기 風文 2022.08.06 1239
3211 주현씨가 말했다 風文 2023.11.21 1239
3210 꼬까울새 / 해독, 치유 風文 2020.05.25 1241
3209 배레나룻 風文 2024.02.18 1241
3208 교정, 교열 / 전공의 風文 2020.05.27 1244
3207 유신의 추억 風文 2021.11.15 1244
3206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244
3205 뉴 노멀, 막말을 위한 변명 風文 2022.08.14 1245
3204 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風文 2023.11.14 1245
3203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1246
3202 내 청춘에게? 風文 2024.02.17 1246
3201 이름 짓기, ‘쌔우다’ 風文 2022.10.24 1247
3200 대통령과 책방 風文 2023.05.12 1247
3199 정치와 은유(2, 3) 風文 2022.10.13 1248
3198 ‘이’와 ‘히’ 風文 2023.05.26 1248
3197 말의 적 / 화무십일홍 風文 2023.10.09 1250
3196 쌤, 일부러 틀린 말 風文 2022.07.01 1251
3195 매뉴얼 / 동통 風文 2020.05.30 125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