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11 11:32

그닥

조회 수 6918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그닥

남녘에서 최근 널리 쓰이는 말로 ‘그닥’이 있다. 그닥은〈조선말대사전〉에서 ‘그다지의 말체’로 풀이되어 있다.

“하는수 없이 박홍덕은 바위틈에서 내려서서 그닥 높지 않은 목소리로 누구냐고 소리를 질렀다.”(장편소설 1932년)

〈조선말대사전〉에는 ‘말체’로 풀이된 올림말이 상당수 있다. 말체는 곧 ‘입으로 말하는 투’다. 다시 말해 글말투로 글을 쓸 때에는 ‘그다지’로 적고, 입말투로 글을 쓴다면 ‘그닥’으로 적는다는 말이다. 남녘 사전에는 ‘그닥’이 없는데, 그 이유는 ‘말체’ 낱말을 올리지 않고 ‘준말’인 낱말을 올리기 때문이다. 만약 ‘그닥’을 ‘준말’로 풀이하여 사전에 싣는다면, ‘글말투 문장에서 일반적으로 그닥을 쓰게 되었다’고 본 것이다.

‘그닥’은 어느 낱말의 준말일까? ‘그닥’은 북부와 중부 지역어에서 두루 확인되는 ‘그닥지’의 준말이다. 이제는 ‘그닥지’를 쓰지 않는데도 ‘그닥’이 남녘의 글에서 쓰이게 된 것은 인터넷 글쓰기의 영향이다. 그래서 ‘그닥’을 인터넷 유행어 정도로 보는 사람도 있다.

‘그닥지’와 ‘그다지’는 20세기 전후에 같이 쓰이다가 표준어 정책으로 ‘그다지’로 굳어진 것으로 보인다. 한글학회〈큰사전〉이래로 남북 사전에서는 ‘그닥지’를 비표준어로 보고 있다. 그런데 ‘그닥’을 설명하려면 ‘그닥지’가 다시 필요하게 되었다. ‘그다지’와의 세력 싸움에서 진 뒤로 지역어에만 남아 있던 ‘그닥지’가 ‘그닥’을 내세워 중앙 진출을 시도했다고 볼 수 있겠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47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96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928
3216 새말과 소통, 국어공부 성찰 風文 2022.02.13 1230
3215 1도 없다, 황교안의 거짓말? 風文 2022.07.17 1232
3214 배레나룻 風文 2024.02.18 1232
3213 '바치다'와 '받치다' file 風文 2023.01.04 1233
3212 국민께 감사를 風文 2021.11.10 1235
3211 직거래하는 냄새, 은유 가라앉히기 風文 2022.08.06 1235
3210 “힘 빼”, 작은, 하찮은 風文 2022.10.26 1235
3209 주현씨가 말했다 風文 2023.11.21 1235
3208 대통령과 책방 風文 2023.05.12 1236
3207 내 청춘에게? 風文 2024.02.17 1236
3206 유신의 추억 風文 2021.11.15 1237
3205 돼지의 울음소리, 말 같지 않은 소리 風文 2022.07.20 1240
3204 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風文 2023.11.14 1241
3203 뉴 노멀, 막말을 위한 변명 風文 2022.08.14 1242
3202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1243
3201 이름 짓기, ‘쌔우다’ 風文 2022.10.24 1243
3200 교정, 교열 / 전공의 風文 2020.05.27 1244
3199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244
3198 말의 적 / 화무십일홍 風文 2023.10.09 1246
3197 쌤, 일부러 틀린 말 風文 2022.07.01 1248
3196 정치와 은유(2, 3) 風文 2022.10.13 1248
3195 부동층이 부럽다, 선입견 風文 2022.10.15 124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