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9708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말의 짜임새와 뿌리

지금까지 ‘말겨레’란 문패를 달고 세계 여러 말의 뿌리와 짜임새를 살펴봤다. 어떤 말들은 짜임새가 비슷하면서도 뿌리가 다른 것도 있었고, 짜임새는 조금 다르지만 뿌리가 같은 것도 있었다. 그러면 우리말의 뿌리와 짜임새는 어떤가?

흔히 우리말의 짜임새 특징을 교착어라 한다. 교착어란 문법 형태소를 하나씩 덧붙여 문법 관계를 표현하는 말을 일컫는다. ‘할아버지께서 오시었다’란 말을 보면, ‘할아버지’에 ‘께서’가 붙어 높임의 주격을 보이고, ‘오시었다’의 ‘오-’에 ‘-시-’가 붙어 주어를 높이는 기능을, ‘-었-’이 붙어 동작이 과거에 일어났다는 것을, ‘-다’가 붙어 서술문이라는 기능을 보인다. 일본말·터키말·몽골말·핀란드말 따위도 비슷한 짜임새다. 말차례도 ‘주어+목적어+서술어’로 짜였는데, 위에 든 말들도 대개 그러하고, 이란말·힌디말·벵골말 따위도 우리와 말차례가 같다.

우리말의 뿌리는 어떠한가? 대체로 알타이 말겨레에 든다고 한다. 알타이 말겨레에 드는 몽골어파, 만주퉁구스어파, 터키어파와 같은 계통일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그동안 국내외 여러 연구가 이루어졌지만 아직 비교언어학적으로 충분히 증명되지는 않았다. 따라서 우리말의 뿌리가 어디에 있는지, 어느 말겨레에 드는지는 앞으로 좀더 깊고 폭넓은 연구를 통해 밝혀야 할 것이다. 그러자면 우리와 이웃한 말들을 정밀하게 조사하여 비교해 보는 한편, 우리의 값진 언어유산인 지역말들을 늦기 전에 빠짐없이 조사하여 살펴봐야 할 것이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04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66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603
3216 어떤 문답 관리자 2022.01.31 1394
3215 두꺼운 다리, 얇은 허리 風文 2023.05.24 1394
3214 적과의 동침, 어미 천국 風文 2022.07.31 1397
3213 어떻게 토론할까, 질문 안 할 책임 風文 2022.07.24 1398
3212 도긴개긴 風文 2023.05.27 1399
3211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400
3210 직거래하는 냄새, 은유 가라앉히기 風文 2022.08.06 1401
3209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401
3208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401
3207 호언장담 風文 2022.05.09 1402
3206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402
3205 '바치다'와 '받치다' file 風文 2023.01.04 1403
3204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404
3203 말로 하는 정치 風文 2022.01.21 1406
3202 ○○노조 風文 2022.12.26 1407
3201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409
3200 쌤, 일부러 틀린 말 風文 2022.07.01 1412
3199 혁신의 의미, 말과 폭력 風文 2022.06.20 1414
3198 국민께 감사를 風文 2021.11.10 1415
3197 마녀사냥 風文 2022.01.13 1416
3196 돼지껍데기 風文 2023.04.28 1418
3195 인쇄된 기억, 하루아침에 風文 2022.08.12 141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