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2538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튀기말, 피진과 크레올

어느 말겨레에 들지 못하고 두 언어가 뒤섞여 이루어진 말이 있다. 이를 튀기말이라 한다. 튀기말의 대표적인 형태가 피진이다. 피진은 주로 바다를 건너 장사하는 사람들 사이에 사용되던 말이다. 대개는 영어나 프랑스말, 스페인말, 포르투갈말에 바탕을 두고 현지 토박이말을 섞어 형성되는데, 낱말의 수도 한정되고 문법도 매우 단순화되어 있다. 물건을 사고파는 데 꼭 필요한 만큼의 낱말과 문법으로만 이루어진 게 튀기말이다.

피진 중에는 중국의 피진영어가 대표적이다. 피진이란 말 자체가 비즈니스(business)의 중국 발음을 딴 것이라고 알려졌다. 그 밖에도 아프리카나 태평양에 여러 토박이말과 서양말 사이에서 생겨난 피진들이 여럿 있다. 대개 낱말은 영어를 비롯한 서양말에서 왔고 문법은 토박이말에서 따왔다.

피진은 친밀하지 않은 상대방과 의사소통을 하느라 생긴 것으로 소통할 필요성이 있는 한 계속 유지된다. 집단 사이 관계가 매우 긴밀해져서 한 집단이 다른 집단의 언어를 완전히 배울 수 있게 되면 피진은 더 필요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어느 쪽도 상대방 언어를 온전히 배울 마음이 없는 한 피진은 사라지지 않는다. 삼백년 동안이나 유지된 중국의 피진영어가 바로 여기에 해당된다.

그런데 피진이 한 족속의 모국어로 뿌리내리게 되어 어린아이가 태어나면서부터 이를 정식으로 습득하는 말이 될 때 이를 ‘크레올’이라 한다. 임시변통이던 튀기말이 정식 언어로 태어나는 셈이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05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53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455
3172 가라, 와라 바람의종 2011.11.20 9579
3171 가랭이 / 가랑이 바람의종 2010.08.05 16574
3170 가르치다, 가리키다 바람의종 2008.10.01 6766
3169 가마즁이·언년이 바람의종 2008.06.19 7026
3168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078
3167 가마우지 바람의종 2009.06.29 6315
3166 가시 돋힌 설전 바람의종 2010.04.01 13325
3165 가시버시 바람의종 2007.12.17 7467
3164 가시버시 바람의종 2010.04.26 10015
3163 가시집 바람의종 2008.03.15 7511
3162 가야와 가라홀 바람의종 2008.04.01 7075
3161 가열차다, 야멸차다 바람의종 2009.03.18 11319
3160 가엾은/가여운, 서럽다/서러운, 여쭙다/여쭈다 바람의종 2009.06.29 11663
3159 가오 잡다, 후카시 잡다 바람의종 2009.11.24 17129
3158 가와 끝 바람의종 2008.01.13 6795
3157 가외·유월이 바람의종 2008.09.06 7738
3156 가을하다 바람의종 2007.12.28 7146
3155 가이없는 은혜 바람의종 2012.08.17 9107
3154 가입시더 바람의종 2009.04.09 6598
3153 가젠하민 바람의종 2009.05.24 6906
3152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風文 2022.06.26 1330
3151 가짜와 인공 風文 2023.12.18 119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