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22 20:37

큰 바위

조회 수 7829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큰 바위

미국의 소설가 너새니얼 호손의 <큰 바위 얼굴>은 산골짜기 어느 마을에 큰 바위 얼굴을 닮은 위인을 기다리며 사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린 소설이다. 소년과 마을 사람들이 기다리던 큰 바위 얼굴을 한 위인은 장군도 아니었고 시인도 아니었다. 오히려 그는 바위를 닮아 살아온 주인공 자신이었던 셈이다.

사람은 자신이 놓인 자연을 닮아가면서 살아간다. 경기도 두물머리(양수리) 사람들의 삶을 그린 시인 권대응은 “양수리 사람들은 강을 닮으며 살아간다”고 하였다. 땅이름도 자연의 한 부분으로 존재한다. <금강산 기행>을 쓴 이광수는 구름과 안개가 걷힌 금강산 비로봉에 지극히 평범한 덕을 지닌 ‘배바위’를 보고는 소설가다운 상상을 자연스럽게 펼쳐낸다. 배바위는 뱃사람들이 바위를 기준으로 삼아 배가 나아갈 방향을 정하는 바위라는 뜻이다. 만장봉두에 말없이 앉아 있다가 푸른 바닷길을 열어주니 얼마나 큰 덕을 쌓는 일인가. 성인도 미치지 못할까 두려워한 덕이지만 사람이라면 누구나 소망하는 평범한 덕이다.

우리나라 각 지역에서 찾아볼 수 있는 큰 바위 이름은 모양이나 기능에서 비롯된 것들이 많다. 우뚝 선 모습의 ‘선바위’, 병풍처럼 펼쳐 있는 ‘병풍바위’, 칼날처럼 날카로운 ‘칼바위’ 등이 그러하다. 특히 강원 산간 마을에는 이런 이름이 더 많다. 이런 이름들에는 큰 바위 얼굴처럼 자연을 닮아가는 순박한 사람들의 소박한 삶이 배어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07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55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496
3128 표준말의 기강, 의미와 신뢰 風文 2022.06.30 1455
3127 웃어른/ 윗집/ 위층 風文 2024.03.26 1455
3126 ‘시끄러워!’, 직연 風文 2022.10.25 1458
3125 한국어의 위상 風文 2022.05.11 1459
3124 개양귀비 風文 2023.04.25 1459
3123 콩글리시 風文 2022.05.18 1464
3122 정치의 유목화 風文 2022.01.29 1465
3121 괄호, 소리 없는, 반격의 꿔바로우 風文 2022.08.03 1465
3120 헛스윙, 헛웃음, 헛기침의 쓸모 風文 2023.01.09 1471
3119 울타리 표현, 끝없는 말 風文 2022.09.23 1473
3118 ‘~면서’, 정치와 은유(1): 전쟁 風文 2022.10.12 1474
3117 말다듬기 위원회 / 불통 風文 2020.05.22 1475
3116 마라톤 / 자막교정기 風文 2020.05.28 1475
3115 언어적 자해 風文 2022.02.06 1477
3114 4·3과 제주어, 허버허버 風文 2022.09.15 1480
3113 금수저 흙수저 風文 2024.02.08 1480
3112 지명의 의의 風文 2021.11.15 1482
3111 바람을 피다? 風文 2024.01.20 1484
3110 인기척, 허하다 風文 2022.08.17 1485
3109 ‘끄물끄물’ ‘꾸물꾸물’ 風文 2024.02.21 1489
3108 방방곡곡 / 명량 風文 2020.06.04 1490
3107 너무 風文 2023.04.24 14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