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9 17:47

한글과 우리말

조회 수 7581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글과 우리말

철든 사람이면 ‘한글’과 ‘우리말’의 뜻을 가리지 못할 리는 없다. 한글과 우리말은 그만큼 뜻이 아주 다른 말이다. 그러나 요즘 알 만한 이들이 이들 낱말을 자주 뒤섞어 쓴다. 무엇보다 한글과 우리말을 사랑하고 자랑스럽게 여기면서 빛나게 갈고닦아야 한다고 소매를 걷고 나선 이들 가운데서 그런 사람을 자주 만나니 안타깝다.

한글은 우리 글자 이름이다. 본디 ‘백성 가르치는 바른 소리’(훈민정음)라 불렀으나 줄여서 ‘바른 소리’(정음)라 했는데, 중국 글자를 우러르는 선비들이 사백 년 동안 ‘상스러운 글자’(언자·언문)라 부르며 업신여겼다. 대한제국에 와서 ‘나라 글자’(국자·국문)라 했는데, 주시경 선생이 ‘한글’이라 부르자 제자들이 1927년에 <한글>이라는 잡지를 펴낸 뒤부터 널리 퍼졌다. 남북이 갈라지자 북에서는 한글이 ‘한국글자’로 들린다면서 굳이 ‘조선글자’라 한다.

‘우리말’은 우리 겨레에게서 나고 자란 토박이말이다. 우리 겨레의 마음에서 씨앗이 생겨 겨레의 삶에서 움이 트고 싹이 나고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었기에 그대로 우리 얼의 집이다. 그러나 토박이말로만 살아갈 수는 없어 오가며 삶을 주고받는 이웃 겨레의 말도 들여오게 마련이고, 이렇게 들온 남의 말도 제대로 길이 들면 ‘들온말’(외래어)로서 우리말이 된다. 이런 우리말의 이름을 남에서는 ‘한국어’라 하고 북에서는 ‘조선말’이라 하지만 예로부터 배달겨레의 말이란 뜻으로 ‘배달말’이라 했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56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08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060
3238 대원군 바람의종 2007.06.24 9001
3237 대책 바람의종 2007.06.25 6504
3236 대처승 바람의종 2007.06.25 9766
3235 도락 바람의종 2007.06.26 7515
3234 도구 바람의종 2007.06.26 5860
3233 도량 바람의종 2007.06.27 7001
3232 도탄 바람의종 2007.06.27 5613
3231 동기간 바람의종 2007.06.28 7795
3230 동냥 바람의종 2007.06.28 9835
3229 등용문 바람의종 2007.06.30 6978
3228 막론 바람의종 2007.06.30 6412
3227 말세 바람의종 2007.07.01 8754
3226 면목 바람의종 2007.07.01 8176
3225 명일 바람의종 2007.07.02 11310
3224 모리배 바람의종 2007.07.02 16672
3223 모순 바람의종 2007.07.03 5855
3222 목적 바람의종 2007.07.03 7014
3221 무녀리 바람의종 2007.07.04 9203
3220 무진장 바람의종 2007.07.04 7435
3219 문외한 바람의종 2007.07.05 8817
3218 미망인 바람의종 2007.07.05 6169
3217 미인계 바람의종 2007.07.06 727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