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9 17:47

한글과 우리말

조회 수 7374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글과 우리말

철든 사람이면 ‘한글’과 ‘우리말’의 뜻을 가리지 못할 리는 없다. 한글과 우리말은 그만큼 뜻이 아주 다른 말이다. 그러나 요즘 알 만한 이들이 이들 낱말을 자주 뒤섞어 쓴다. 무엇보다 한글과 우리말을 사랑하고 자랑스럽게 여기면서 빛나게 갈고닦아야 한다고 소매를 걷고 나선 이들 가운데서 그런 사람을 자주 만나니 안타깝다.

한글은 우리 글자 이름이다. 본디 ‘백성 가르치는 바른 소리’(훈민정음)라 불렀으나 줄여서 ‘바른 소리’(정음)라 했는데, 중국 글자를 우러르는 선비들이 사백 년 동안 ‘상스러운 글자’(언자·언문)라 부르며 업신여겼다. 대한제국에 와서 ‘나라 글자’(국자·국문)라 했는데, 주시경 선생이 ‘한글’이라 부르자 제자들이 1927년에 <한글>이라는 잡지를 펴낸 뒤부터 널리 퍼졌다. 남북이 갈라지자 북에서는 한글이 ‘한국글자’로 들린다면서 굳이 ‘조선글자’라 한다.

‘우리말’은 우리 겨레에게서 나고 자란 토박이말이다. 우리 겨레의 마음에서 씨앗이 생겨 겨레의 삶에서 움이 트고 싹이 나고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었기에 그대로 우리 얼의 집이다. 그러나 토박이말로만 살아갈 수는 없어 오가며 삶을 주고받는 이웃 겨레의 말도 들여오게 마련이고, 이렇게 들온 남의 말도 제대로 길이 들면 ‘들온말’(외래어)로서 우리말이 된다. 이런 우리말의 이름을 남에서는 ‘한국어’라 하고 북에서는 ‘조선말’이라 하지만 예로부터 배달겨레의 말이란 뜻으로 ‘배달말’이라 했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00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56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525
3238 대통령과 책방 風文 2023.05.12 1336
3237 경텃절몽구리아들 / 모이 風文 2020.05.24 1338
3236 말끝이 당신이다, 고급 말싸움법 風文 2022.07.19 1338
3235 반동과 리액션 風文 2023.11.25 1338
3234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339
3233 말의 적 / 화무십일홍 風文 2023.10.09 1340
3232 귀 잡수시다? 風文 2023.11.11 1340
3231 자막의 질주, 당선자 대 당선인 風文 2022.10.17 1343
3230 자백과 고백 風文 2022.01.12 1344
3229 어떻게 토론할까, 질문 안 할 책임 風文 2022.07.24 1349
3228 언어적 적폐 風文 2022.02.08 1350
3227 새말과 소통, 국어공부 성찰 風文 2022.02.13 1351
3226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353
3225 정치와 은유(2, 3) 風文 2022.10.13 1355
3224 있다가, 이따가 風文 2024.01.03 1357
3223 직거래하는 냄새, 은유 가라앉히기 風文 2022.08.06 1358
3222 말의 평가절하 관리자 2022.01.31 1359
3221 뉴 노멀, 막말을 위한 변명 風文 2022.08.14 1359
3220 부동층이 부럽다, 선입견 風文 2022.10.15 1359
3219 말로 하는 정치 風文 2022.01.21 1361
3218 정치인의 애칭 風文 2022.02.08 1363
3217 돼지의 울음소리, 말 같지 않은 소리 風文 2022.07.20 136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