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0 09:25

‘모라’와 마을

조회 수 8083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모라’와 마을


1988년 4월 중순에 발견된 울진군 봉평리의 비문은 한자를 빌려서 우리말을 적은(차자 표기) 사례를 연구하는 학자들에게 큰 흥분을 가져다준 비문이다. 이 빗글에 대해서는 남풍현 교수가 비교적 자세히 연구를 한 적이 있는데, 땅이름을 공부하는 사람들에게도 매우 흥미로운 자료가 담겨 있다. 왜냐하면 비를 세운 사람으로 ‘거벌모라’의 ‘이지파 하간지’와 ‘신일지 일척’이라는 기록이 나오기 때문이다.

‘모라’는 마을의 어원에 해당한다. <양서> 신라전에 “신라인들은 성을 건모라라고 한다”라는 기록이나, <삼국사기>의 ‘모루성’(충남 서천이나 예산으로 추정)에 들어 있는 ‘모라’와 ‘모루’는 모두 큰 마을인 성을 뜻한다.

그런데 ‘모라’를 ‘산’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왜냐하면 ‘모라’ 또한  ‘의 변이형인 ‘마루’, ‘머리’와 같은 계통의 낱말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양주동은 <고가연구>에서 ‘‘’가 ‘산’과 ‘머리’를 뜻하는 동음이의어였다고 한 바 있다. 이 견해를 따르면 ‘검은모루’는 ‘검은산’이란 뜻이 된다.

그러나 전국 곳곳에서 발견되는 ‘돌모루’는 ‘산’보다는 ‘모퉁이’나 ‘벼랑’을 뜻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땅이름은 대체로 한자말 ‘석우’(石隅)로 바뀐다. 이를 고려한다면, ‘‘’와 ‘모루’, ‘모라’는 별개의 낱말로 보인다. 이처럼 비문에서도 땅이름의 어원을 밝히는 말을 찾아낼 수 있음은 기쁜 일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62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15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078
3260 세계어 배우기 風文 2022.05.11 1408
3259 정보와 담론, 덕담 風文 2022.06.15 1412
3258 좋은 목소리 / 좋은 발음 風文 2020.05.26 1415
3257 태극 전사들 風文 2022.01.29 1416
3256 주현씨가 말했다 風文 2023.11.21 1416
3255 '밖에'의 띄어쓰기 風文 2023.11.22 1416
3254 한 두름, 한 손 風文 2024.01.02 1416
3253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風文 2022.07.27 1417
3252 ‘가오’와 ‘간지’ 風文 2023.11.20 1419
3251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420
3250 저리다 / 절이다 風文 2023.11.15 1422
3249 언어적 적폐 風文 2022.02.08 1423
3248 귀 잡수시다? 風文 2023.11.11 1423
3247 아니오 / 아니요 風文 2023.10.08 1425
3246 반동과 리액션 風文 2023.11.25 1425
3245 ‘맞다’와 ‘맞는다’, 이름 바꾸기 風文 2022.09.11 1426
3244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風文 2023.02.27 1426
3243 있다가, 이따가 風文 2024.01.03 1426
3242 우리와 외국인, 글자 즐기기 風文 2022.06.17 1427
3241 돼지의 울음소리, 말 같지 않은 소리 風文 2022.07.20 1428
3240 구경꾼의 말 風文 2022.12.19 1429
3239 '김'의 예언 風文 2023.04.13 143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