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05 12:48

돌서덕

조회 수 9536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돌서덕

‘돌서덕’은 ‘돌이 많은 강이나 내의 바닥’을 말한다.

“맑은 물이 은은한 진폭을 울리며 흐르다가도 어느 한 곳에 와서 꿀룩꿀룩 돌서덕에 숨어 버린다.”(리병수, 〈붉은 지평선〉)

돌서덕과 비슷한 말로 남녘에서는 ‘서덜’을 쓴다. 서덜은 ‘냇가나 강가에 돌이 많은 곳’을 말하므로 강바닥을 뜻하는 돌서덕과 약간 위치가 다르다. 북녘에서도 서덜을 쓰는데, 강이나 내의 바닥을 포함한 ‘돌이 많이 깔린 곳’을 모두 가리키므로 돌서덕보다 넓은 뜻이다.

“전날에는 흔히 큰물이 밀려내려 여기의 모래논은 서덜로 변했다.”(조선말대사전)

여름에 홍수가 난 논에서 물이 빠지면 논에는 돌·자갈이 많이 남는다. 이런 곳을 서덜이라고 한다. 또 남북에서는 각각의 서덜과 같은 뜻으로 ‘돌서덜’을 쓴다. 남북이 모두 서덜·돌서덜을 쓰는데 그 뜻이 조금 다른 까닭은 무엇일까? 1950년 발행된 〈큰사전〉을 보면, 남녘에서 쓰는 뜻으로 서덜이 있고, 돌서덜과 돌서덕은 없다. 그렇다면 아마도 남북에서 두 낱말을 같은 뜻으로 쓰다가, 북녘에서는 돌서덕이 쓰이게 되면서 기존 서덜의 뜻을 돌서덕이 맡고, 서덜은 그 뜻이 원래보다 좀 확장된 듯하다. 북녘말 서덜은 그 뜻이 넓어지면서 ‘돌바닥’과 비슷한 말이 되었다.

돌이 많은 산비탈을 너덜·너덜겅·돌너덜이라고 하는데, 그러고 보면 서덜·너덜은 곳에 따라 차이가 날 뿐 돌과 관계가 있는 것은 한가지라 하겠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83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31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313
3260 남과 북의 언어, 뉘앙스 차이 風文 2022.06.10 1236
3259 생각보다, 효녀 노릇 風文 2022.09.02 1237
3258 과잉 수정 風文 2022.05.23 1240
3257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風文 2022.07.27 1241
3256 반동과 리액션 風文 2023.11.25 1241
3255 이단, 공교롭다 風文 2022.08.07 1243
3254 남친과 남사친 風文 2023.02.13 1245
3253 ‘가오’와 ‘간지’ 風文 2023.11.20 1245
3252 김 여사 風文 2023.05.31 1246
3251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246
3250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247
3249 우리와 외국인, 글자 즐기기 風文 2022.06.17 1248
3248 세계어 배우기 風文 2022.05.11 1250
3247 구경꾼의 말 風文 2022.12.19 1250
3246 날씨와 인사 風文 2022.05.23 1251
3245 '밖에'의 띄어쓰기 風文 2023.11.22 1251
3244 적과의 동침, 어미 천국 風文 2022.07.31 1252
3243 아니오 / 아니요 風文 2023.10.08 1252
3242 교정, 교열 / 전공의 風文 2020.05.27 1253
3241 꼬까울새 / 해독, 치유 風文 2020.05.25 1254
3240 말의 평가절하 관리자 2022.01.31 1254
3239 교열의 힘, 말과 시대상 風文 2022.07.11 125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