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04 02:13

노루귀

조회 수 6650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노루귀

입춘에 우수까지 지나니 방송이나 잡지에서 봄을 알리는 들꽃 사진을 많이 보여준다. 산과 들에 사진 찍으러 가도 실제로는 찾기 어렵다고 하는데, 눈속에서도 피어 있는 풀꽃을 찾아내고는 강한 생명력을 느끼고서 그 새롭고 소중함을 전하는 듯하다. 산수유·매화·개나리·진달래·벚꽃이 차례로 온 나라를 덮기 전에 봄의 전령으로 수줍게 피는 바람꽃·복수초·현호색·노루귀·제비꽃 …. 이 가운데 노루귀는 신문·방송에서도 여러 번 보았다.

노루가 예전에는 아주 친근한 동물이어서 그런지, 땅이름·연장이름·속담들에도 자주 등장한다. 풀꽃이름에는 더 흔하다.

‘노루귀’는 노루귀 모양의 잎 뒷면에 털이 보송보송 길게 덮은 모습이 노루귀와 같다고 하여 붙은 이름이다. 남쪽지방에서 자라는 조금 작은 노루귀는 ‘새끼노루귀’라 부른다.

‘노루발’은 잎맥 모양이나 하얀 눈 위에 나 있는 모습이 노루 발자국처럼 보인다 하여 붙은 이름인데, 작은 품종은 ‘새끼노루발’이다. ‘노루삼’은 홍갈색 수염뿌리가 나고 약효가 많은 까닭에, ‘노루오줌’은 노루가 물 마시고 오줌 누는 물가에 많고, 노루오줌 냄새가 난대서 붙은 이름이다. ‘노루참나물’은 참나물과 비슷하나 전체에 털이 나서, ‘노루궁뎅이버섯’(노루꼬댕이버섯)은 노루꼬리 모양의 털이 있어서 붙은 이름이다. 노루귀든 노루궁뎅이든 지금은 잘 볼 수 없으니, 노루가 뛰놀고 노루귀가 피었던 산골의 봄을 머릿속으로나 상상해 본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노루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70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30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294
3260 남친과 남사친 風文 2023.02.13 1329
3259 이단, 공교롭다 風文 2022.08.07 1330
3258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風文 2023.02.27 1331
3257 순직 風文 2022.02.01 1332
3256 구경꾼의 말 風文 2022.12.19 1332
3255 김 여사 風文 2023.05.31 1332
3254 '밖에'의 띄어쓰기 風文 2023.11.22 1332
3253 '-시키다’ 風文 2023.12.22 1332
3252 ‘맞다’와 ‘맞는다’, 이름 바꾸기 風文 2022.09.11 1333
3251 한 두름, 한 손 風文 2024.01.02 1333
3250 ‘가오’와 ‘간지’ 風文 2023.11.20 1334
3249 선정-지정 / 얼룩빼기 황소 風文 2020.05.15 1336
3248 우리와 외국인, 글자 즐기기 風文 2022.06.17 1337
3247 깻잎 / 기림비 1 風文 2020.06.01 1338
3246 주현씨가 말했다 風文 2023.11.21 1342
3245 정보와 담론, 덕담 風文 2022.06.15 1343
3244 몸으로 재다, 윙크와 무시 風文 2022.11.09 1343
3243 붓다 / 붇다 風文 2023.11.15 1343
3242 귀 잡수시다? 風文 2023.11.11 1344
3241 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風文 2023.11.14 1346
3240 말의 적 / 화무십일홍 風文 2023.10.09 1347
3239 우방과 동맹, 손주 風文 2022.07.05 134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