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31 19:29

으악새

조회 수 984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으악새

오래된 유행가 가운데 가을이 되면 애절하게 가슴을 적시는 “아 아~ 으악새 슬피 우니 가을인가요 …”(‘짝사랑’) 하는 노랫말에서 ‘으악새’가 나온다. 이를 ‘새’(鳥)로 아는 이들이 많은 듯하다. 2절에서 ‘뜸북새’도 슬피 운다 하니 더욱 그럴싸하다. 실제로 정재도님은 그것이 물과 관계가 있으며, 봄에 우리나라에 와 논·강·호숫가에서 살다가 가을에 돌아가며 슬피 우는 ‘왜가리’를 일컫는다고 밝힌 바 있다.

‘짝사랑’에 나오는 ‘으악새’와 상관없이 풀이름 ‘억새’의 경기 사투리로 ‘으악새’가 있고, 억새의 옛말에 ‘어웍새’가 있는 것을 보면, 풀이름과 ‘으악새’의 인연도 깊은 듯하다.

‘새’는 우리가 흔히 동물 이름 ‘○○새’를 떠올리지만, 식물 이름 ‘○○새’도 꽤 있다. 그냥 ‘새’라는 풀도 있고, ‘억새’의 준말이 ‘새’이기도 하다. 또한 볏과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기도 한데, ‘기름새/ 나래새/ 드렁새/ 들묵새/ 물뚝새/ 쌀새/ 솔새/ 수수새/ 장고새 …들이 있다. ‘방울새’는 새이름이기도 하지만 풀이름이기도 하고, ‘오리새/ 꼬리새/ 호오리새’ 역시 새이름 아닌 풀이름이다.

주변에 19세기 프랑스 폴 베를렌의 시 〈가을의 노래〉 중 “가을날 비올롱의 긴 흐느낌은 ~”에서 ‘비올롱’을 바이올린이 아닌, 세상에서 가장 슬피 우는 새로 잘못 알고 그 감정에 푹 빠져서 불문학을 전공해 교수가 되셨다는 분이 있다. 착각에 힘입은 감동이라도 가끔씩은 개입하는 게 삶의 모습이란 생각이 든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93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39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360
3282 애정하다, 예쁜 말은 없다 風文 2022.07.28 1186
3281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189
3280 영어 열등감, 몸에 닿는 단위 風文 2022.04.27 1191
3279 거짓말과 개소리, 혼잣말의 비밀 風文 2022.11.30 1191
3278 옹알이 風文 2021.09.03 1193
3277 아줌마들 風文 2022.01.30 1193
3276 우방과 동맹, 손주 風文 2022.07.05 1193
3275 법과 도덕 風文 2022.01.25 1194
3274 말의 미혹 風文 2021.10.30 1196
3273 외래어의 된소리 風文 2022.01.28 1197
3272 세계어 배우기 風文 2022.05.11 1197
3271 생각보다, 효녀 노릇 風文 2022.09.02 1197
3270 왠지/웬일, 어떻게/어떡해 風文 2023.06.30 1200
3269 조의금 봉투 風文 2023.11.15 1200
3268 왕의 화병 風文 2023.11.09 1201
3267 야민정음 風文 2022.01.21 1202
3266 저리다 / 절이다 風文 2023.11.15 1204
3265 '밖에'의 띄어쓰기 風文 2023.11.22 1205
3264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205
3263 정보와 담론, 덕담 風文 2022.06.15 1208
3262 예민한 ‘분’ 風文 2023.05.29 1208
3261 과잉 수정 風文 2022.05.23 120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