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30 17:41

한뫼-노고산

조회 수 10426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뫼-노고산

우리나라 땅이름에 ‘할미’가 들어간 것이 비교적 많이 발견된다. 할미는 한자로 표기하면 ‘노고’(老姑)가 된다. 이러한 땅이름에는 여러 가지 전설이 덧붙어 있다. 예를 들어 지리산 노고단은 혁거세의 어머니 선도성모의 제사를 지냈던 곳이라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그런데 ‘노고산’은 충남 공주, 경북 성주를 비롯하여 거의 전국 곳곳에서 발견된다. 더욱이 ‘노고’의 토박이말인 ‘할미봉’이나 ‘할미산’을 합친다면, 할머니와 관련된 땅이름은 그 수를 헤아리기 힘들 정도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할미’가 들어간 땅이름이 많은 까닭은 무엇일까? 어떤 사람들은 어머니나 할머니는 모계사회에서 여성을 중시하여 붙은 이름으로 풀이하기도 한다. 그러나 잘 살펴보면, ‘할미’는 반드시 산에 붙은 땅이름임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할미’의 ‘미’는 산의 토박이말인 ‘뫼’에서 온 것이기 때문이다.

곧 ‘할미’의 ‘할’은 ‘크다’의 뜻을 갖는 ‘한’이었으며, ‘미’는 ‘뫼’였다. ‘큰산’을 뜻하는 ‘한뫼’는 ‘할뫼’, 또는 ‘할미’로 불리었으며, 이 ‘할미’라는 낱말과 관련된 여러 가지 전설이 덧붙게 되는 셈이다. 예를 들어 할미봉이나 할미산이 생겨나면, 이와 대응되는 할아비봉이 생겨나는 것과 같은 이치다. 양양 서면의 할아비봉은 할미봉 맞은편에 있다. 할미와 할아비의 정겨운 이야기가 생겨날 수 있는 조건을 갖춘 셈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85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43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419
3282 거짓말과 개소리, 혼잣말의 비밀 風文 2022.11.30 1306
3281 아니오 / 아니요 風文 2023.10.08 1306
3280 과잉 수정 風文 2022.05.23 1307
3279 야민정음 風文 2022.01.21 1309
3278 법과 도덕 風文 2022.01.25 1309
3277 남과 북의 언어, 뉘앙스 차이 風文 2022.06.10 1310
3276 꼬까울새 / 해독, 치유 風文 2020.05.25 1311
3275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311
3274 정당의 이름 風文 2022.01.26 1313
3273 일본이 한글 통일?, 타인을 중심에 風文 2022.07.22 1313
3272 교정, 교열 / 전공의 風文 2020.05.27 1316
3271 분단 중독증, 잡것의 가치 風文 2022.06.09 1316
3270 개념의 차이, 문화어 風文 2022.06.13 1316
3269 외래어의 된소리 風文 2022.01.28 1318
3268 '김'의 예언 風文 2023.04.13 1319
3267 저리다 / 절이다 風文 2023.11.15 1319
3266 비계획적 방출, 주접 댓글 風文 2022.09.08 1322
3265 매뉴얼 / 동통 風文 2020.05.30 1323
3264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323
3263 날씨와 인사 風文 2022.05.23 1324
3262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風文 2022.07.27 1326
3261 세계어 배우기 風文 2022.05.11 13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