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20 05:55

말차례

조회 수 488287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말차례

문장 안에서 주요 성분이 놓이는 위치를 기본어순이라 한다. 세계 여러 말겨레의 기본어순은 대표적인 문장성분인 주어(S), 서술어(V), 목적어(O)를 두는 방법에 따라 여섯 가지로 나뉜다: 제1유형(SVO), 제2유형(SOV), 제3유형(VSO), 제4유형(VOS), 제5유형(OVS), 제6유형(OSV). 말겨레마다 이런 기본어순이 있다.

세계 언어 대부분은 주어가 맨 앞에 오는 1, 2, 3 유형에 든다. 그 가운데서도 1유형과 2유형이 75%나 된다. 그리고 목적어가 주어보다 앞에 놓이는 4유형과 5유형은 매우 드문 편이고, 6유형에 드는 말은 최근에야 알려졌다. 이것은 주어보다 목적어가 앞에 나오는 말은 아주 희귀하다는 것을 뜻한다. 인도양의 섬나라 마다가스카르말이 대표적인 4유형인데 이 유형의 말은 세계 전체의 2%에도 못미치며, 5유형은 브라질 북부의 몇몇 말에서 겨우 보일 정도다. 4유형인 마다가스카르말 ‘manaja tena Rabe’를 그대로 옮기면, ‘존경한다+자신+라베’인데 ‘라베는 자신을 존경한다’라는 뜻이다. 6유형으로 밝혀진 아마존 삼각주지역의 아푸리나말 ‘anana nota apa’를 그대로 옮기면 ‘파인애플+나+꺼낸다’인데, ‘나는 파인애플을 꺼낸다’라는 뜻이다.

이런 여러 유형 가운데 우리말의 기본어순은 2유형인 ‘주어+목적어+서술어’이다. ‘나는 신문을 읽는다’가 바로 기본어순으로 된 문장이다. 한편 우리말과 같은 어순에는 일본말·몽골말·터키말·미얀마말·힌디말 등이 있다.

권재일/서울대 교수· 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97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45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418
3436 ‘-land’ 가 붙는 지명 표기 바람의종 2010.06.01 11884
3435 ‘감투’와 ‘망탕’ 바람의종 2010.03.23 15870
3434 ‘뜨더국’과 ‘마치다’ 바람의종 2010.04.02 15905
3433 단어를 쪼개지 말자 바람의종 2012.05.02 11042
3432 "-읍니다""-습니다" 바람의종 2008.05.03 8577
3431 "~대" 와 "~데" 바람의종 2008.05.13 10069
3430 "~들"의 남용 바람의종 2009.02.22 7821
3429 "~주다"는 동사 뒤에만 온다 바람의종 2009.07.25 12343
3428 "~하에" 바람의종 2009.10.07 13115
3427 "가지다"를 버리자 바람의종 2008.07.31 9814
3426 "가지다"를 버리자 2 바람의종 2008.08.03 9970
3425 "드리다"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01 18405
3424 "못"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3.25 16454
3423 "빠르다"와 "이르다" 바람의종 2008.04.02 9121
3422 "뿐"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8.11.03 9136
3421 "있다, 없다"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7.13 12504
3420 "잘"과 "못"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8.27 23707
3419 "정한수" 떠놓고… 1 바람의종 2008.04.01 13315
3418 "차"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06 12095
3417 % 포인트 바람의종 2012.06.11 9303
3416 돟습니다레! 바람의종 2008.09.27 6550
3415 믜운이 바람의종 2009.02.07 88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