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03 19:03

벌레

조회 수 7613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벌레

가을이 깊어가면서 ‘메뚜기’가 뛰어다니고, 장독대에서 ‘귀뚜라미’가 울어대는가 하면, 따사로운 햇볕에 각종 벌레들이 스멀스멀 기어 다닌다. ‘벌레’는 ‘버러지’와 함께 표준말로 쓰인다.

‘벌레’의 15세기 형태는 ‘벌에’다. 이 당시의 표기 방식은 ‘몸애〉모매’처럼 연철 표기가 일반적이었다. 그런데 ‘벌에’는 ‘버레’가 아닌 ‘벌에’로 적었다. ‘몰애’(沙)도 같은 유형이다. 제2음절에 쓰이는 ‘ㅇ’은 ‘ㄱ’이 약화되어 나타난 것이다. 따라서 ‘벌에’의 이전 형태는 ‘벌게’로 추정할 수 있고, ‘몰애’의 이전 형태는 ‘몰개’로 추정할 수 있다.

‘벌레’의 방언 형태는 ‘벌레, 버래, 버러지, 벌게, 벌거지’가 있다. ‘벌게’의 경우는 ‘벌에/버래’보다 오래된 형태다. 그래서 ‘벌게’의 경우 고장말에서는 ‘벌개, 벌기, 블기’ 등으로 나타나고, ‘벌레’는 ‘버래, 벌레, 버랭이’로 나타난다.

‘벌거지〉버러지’의 변화에서 보는 것처럼, ‘벌거지’도 ‘벌ㄱ’에 뒷가지 ‘-어지’를 연결해 쓰는 고어형이다. 방언에서는 ‘벌거지, 벌가지, 벌걱지, 블그니, 벌갱이’로 쓰인다. ‘버러지’는 ‘벌’에 접미사 ‘-어지’를 연결한 것으로 ‘벌러지, 버럭지, 버레기’가 나타난다.

여기서 우리는 ‘벌게, 벌거지’가 단순히 지방에서 쓰는 사투리가 아니라, 중세국어인 ‘벌에’보다 이전에 썼던 옛말 형태임을 알 수 있다. 방언에는 이처럼 아주 오래된 말이 많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8-10-14 00: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500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58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291
3348 사투리 쓰는 왕자 / 얽히고설키다 風文 2023.06.27 1761
3347 우리나라 風文 2023.06.21 1846
3346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686
3345 ‘-데’와 ‘-대’, 정확한 표현 風文 2023.06.17 2031
3344 ‘파바’와 ‘롯리’ 風文 2023.06.16 1880
3343 말 많은 거짓말쟁이 챗GPT, 침묵의 의미를 알까 風文 2023.06.14 1983
3342 망신 風文 2023.06.09 2102
3341 이 자리를 빌려 風文 2023.06.06 1971
3340 ‘부끄부끄’ ‘쓰담쓰담’ 風文 2023.06.02 1838
3339 김 여사 風文 2023.05.31 1577
3338 프로듀사 風文 2023.05.30 2127
3337 예민한 ‘분’ 風文 2023.05.29 1565
3336 아이 위시 아파트 風文 2023.05.28 1780
3335 도긴개긴 風文 2023.05.27 1655
3334 ‘이’와 ‘히’ 風文 2023.05.26 1771
3333 두꺼운 다리, 얇은 허리 風文 2023.05.24 1672
3332 단골 風文 2023.05.22 1790
3331 대통령과 책방 風文 2023.05.12 1641
3330 돼지껍데기 風文 2023.04.28 1599
3329 용찬 샘, 용찬 씨 風文 2023.04.26 1542
3328 개양귀비 風文 2023.04.25 1800
3327 너무 風文 2023.04.24 181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