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2.22 10:20

주머니차

조회 수 7442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주머니차

신문을 읽다가 ‘뽕잎 주머니차’라는 표현에 눈길이 갔다. ‘주머니차’라는 말을 처음 쓴다는 것을 의식해서인지 ‘주머니차’(tea bag)와 같이 영어 표현을 친절하게 밝혀 주었다. 순우리말 표현을 보고 반가워하다가 ‘티백’을 그대로 번역하면 ‘차주머니’인데 왜 앞뒤를 바꿔 ‘주머니차’라고 했는지 궁금했다.

생각해 보니 ‘차주머니’는 ‘티백’보다 의미 영역이 넓다. “차주머니를 만들어 장롱 속에 매달아 놓으면 냄새 제거와 방충 효과를 함께 볼 수 있다”, “차 도구에는 차주머니, 다기 바구니, 수저 등이 있다” 등에 나오는 ‘차주머니’가 종이나 천으로 만들어 차를 넣어 두는 주머니이기는 하지만 모든 ‘차주머니’에 ‘티백’처럼 1인분씩 차를 나누어 넣는 것은 아니다. ‘주머니차’라면 ‘차주머니’와 구분해서 ‘1인분의 차를 넣은 주머니’란 뜻으로 쓸만하겠다. ‘티백’이라는 외래어보다는 이왕이면 쉬운 우리말 ‘주머니차’를 살려 쓰는 것도 좋겠다.

물건이나 개념을 새로 들여올 때 말도 함께 들어온다. 그래서 외래어가 하나 늘어나기도 하고 그에 맞는 우리말을 만들어 쓰기도 한다. ‘베이스볼’을 야구로, ‘바스켓볼’을 농구로 바꾸듯 풀밭에서 친다는 의미를 살려 골프(golf)를 ‘초구’(草球)로 바꾸자는 의견이 나왔다가 “타자가 초구(初球)를 쳤습니다”처럼 쓰이는 ‘초구’와 겹쳐 실현되지 못했다는 얘기가 있다. 억지스럽지 않고 원래 쓰던 다른 말과도 겹치지 않는 쉬운 우리말 표현을 만들어 내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김한샘/국립국어원 연구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63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06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035
3369 사리 風磬 2006.12.26 8521
3368 살림 風磬 2006.12.26 6273
3367 삼박하다 風磬 2006.12.26 13597
3366 삼삼하다 風磬 2006.12.29 11153
3365 삿대질 風磬 2006.12.29 6965
3364 샅샅이 風磬 2006.12.29 6444
3363 샌님 風磬 2006.12.29 10610
3362 서낭당 風磬 2006.12.29 7900
3361 서울 風磬 2007.01.19 7418
3360 선비 風磬 2007.01.19 10138
3359 스스럼없다 風磬 2007.01.19 12897
3358 시달리다 風磬 2007.01.19 8630
3357 시답잖다 風磬 2007.01.19 12343
3356 아니꼽다 風磬 2007.01.19 14891
3355 안갚음 風磬 2007.01.19 8817
3354 애물단지 風磬 2007.01.19 8398
3353 애벌빨래 風磬 2007.01.19 10809
3352 억수 風磬 2007.01.19 8706
3351 엔간하다 風磬 2007.01.19 9750
3350 오랑캐 風磬 2007.01.19 9120
3349 오사바사하다 風磬 2007.01.19 140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