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12.29 16:52

‘~스런’

조회 수 140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스런’

며칠 전 텔레비전을 보다 ‘의심스런’이라는 방송 자막을 접했다. 용언 어간 ‘의심스럽-’에 어미 ‘-은’이 결합할 때에는 ‘의심스럽-’의 말음 ‘ㅂ’이 ‘우’로 바뀌기 때문에 ‘의심스러운’으로 써야 한다. 그럼에도 일반 사람들은 ‘의심스러운’ 대신 ‘의심스런’을 더 많이 쓰고 있다.

우리말에서 ‘ㅂ’으로 끝나는 용언은 ‘잡-’(잡다·잡은·잡으니)처럼 어떤 부류의 어미와 결합하든 늘 어간의 말음 ‘ㅂ’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도 있고, ‘덥다’(덥다·더워·더우니)처럼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는 어간의 말음 ‘ㅂ’을 그대로 유지하나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는 ‘ㅂ’이 다른 소리로 바뀌는 것도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를 ‘ㅂ 규칙 용언’이라 하고 후자를 ‘ㅂ 불규칙 용언’이라 한다. ‘의심스럽-’은 ‘ㅂ 불규칙 용언’에 속한다.

그런데 아주 오래 전부터 일상 구어(입말)에서는 ‘의심스럽-’처럼 ‘-스럽-’이 결합되어 파생된 형용사에 어미 ‘-은’을 결합할 때 ‘~스러운’ 대신 ‘~스런’을 써 왔다. ‘의심스런’, ‘자랑스런’, ‘장난스런’ 등이 모두 그렇다. 간결성을 추구하다 보니 이런 현상이 발생한 듯하다. 그렇지만 ‘가렵-’, ‘정답-’ 등의 다른 ‘ㅂ 불규칙 용언’의 경우에는 이런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가려운’, ‘정다운’ 대신 ‘가련’, ‘정단’ 등을 쓰지 않는다. 따라서 ‘~스러운’ 대신 ‘~스런’으로 쓰는 것은 잘못되거나 아주 예외적인 것이다.

과거의 ‘국기에 대한 맹세’에서도 ‘자랑스런’이 버젓이 쓰였었다. 그러나 이러한 사정을 반영하여, 개정된 ‘국기에 대한 맹세’에서는 “나는 자랑스러운 태극기 앞에…”처럼 ‘자랑스런’을 ‘자랑스러운’으로 수정하였다.

박용찬 대구대 국어교육과 부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66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20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159
3414 ‘강한 바람’만인가? 바람의종 2007.10.27 7163
3413 사전과 방언 바람의종 2007.10.28 6106
3412 새말과 사전 바람의종 2007.10.31 6214
3411 사라져가는 언어(2) 바람의종 2007.10.31 7274
3410 엎어지다와 자빠지다 바람의종 2007.10.31 8111
3409 소설속 고장말 바람의종 2007.11.01 9358
3408 댓글 바람의종 2007.11.01 5468
3407 만주말 바람의종 2007.11.02 7080
3406 미혼남·미혼녀 바람의종 2007.11.02 9897
3405 쉽게 찾기 바람의종 2007.11.03 6489
3404 금과 줄 바람의종 2007.11.03 5894
3403 여성상과 새말 바람의종 2007.11.04 8991
3402 언어 보존 바람의종 2007.11.04 7169
3401 야단벼락/혼벼락 바람의종 2007.11.04 8290
3400 ‘뛰다’와 ‘달리다’ 바람의종 2007.11.05 5654
3399 지역 언어 바람의종 2007.11.05 6992
3398 낚시질 바람의종 2007.11.05 7162
3397 칼미크말 바람의종 2007.11.06 7407
3396 책보따리·책보퉁이 바람의종 2007.11.06 8549
3395 는개와 느리 바람의종 2007.11.07 10500
3394 복수 표준어 바람의종 2007.11.07 7191
3393 줄여 쓰는 말 바람의종 2007.11.07 1087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