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16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마르고 닳도록 입고 다니던 청바지가 버스에 앉는데 찍 하고 찢어졌다. 천을 덧대어 오버로크해서 버텼으나, 오래 못 가 뒷무릎까지 찢어졌다. 아깝더라도 버릴 수밖에.

‘전통은 아무리 더러운 전통이라도 좋다’(김수영)지만, 언젠가는 버려야 할 때가 온다. 한글 자음 이름도 그렇다. 한글 창제 후 백년쯤 지나 최세진은 어린이용 한자학습서 ‘훈몽자회’를 쓴다. ‘天’이란 한자에 ‘하늘 천’이라고 적어두면 자습하기 편하겠다 싶었다. 명민한 최세진은 이름만 배워도 그것이 첫소리와 끝소리에서 어떻게 발음이 되는지 알 수 있게 만들었다. ‘리을, 비읍’처럼 ‘이으’의 앞뒤에 ㄹ, ㅂ을 붙이면 첫소리와 끝소리를 연습할 수 있겠다. 그래서 ‘ㄹ’ 이름을 梨乙(리을), ‘ㅂ’ 이름을 非邑(비읍)이라고 지었다. 기발하고 참신하다.

그런데 처음부터 문제였다. ‘ㄱ’도 기윽이라 해야 하는데, 아무리 찾아도 ‘윽’이라는 한자가 없다. 하는 수 없이 발음이 비슷한 役(역)을 써서 其役(기역)이라 했다. 이런 식으로 이름 붙인 게 ㄱ, ㄷ, ㅅ 3개다. ‘ㄷ’도 디읃으로 하고 싶지만, ‘읃’이란 한자가 있을 리 없지. 末(말)이란 한자에 동그라미를 치고 이건 뜻으로 읽으라고 해 놓았다. 옛 발음으로 ‘귿 말’이니, ‘디귿’ 되겠다. ‘ㅅ’도 時衣(시의)라 쓰고, 衣(의)에 동그라미를 쳤다. ‘옷 의’이니 시옷.

궁여지책이었다. 왜 ‘기역, 디귿, 시옷’인지 설명해 주는 선생도 드물었다. 외국인에게 가르칠 때도 이름은 슬쩍 넘어간다(그거 알려주다간 날 샌다). 남북이 함께 만드는 ‘겨레말큰사전’에는 ‘기윽, 디읃, 시읏’으로 통일했다. 어린이나 외국인에게 가르치기도 편하다. 바꿀 땐 바꿔야 한다.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255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890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4150
3388 매무시 風磬 2006.11.26 7885
3387 멍텅구리 風磬 2006.11.26 7077
3386 메밀국수(모밀국수) 風磬 2006.11.26 9105
3385 무꾸리 風磬 2006.11.26 7990
3384 미어지다 風磬 2006.11.26 8278
3383 미주알고주알 風磬 2006.11.26 7451
3382 바늘방석 風磬 2006.11.26 7515
3381 (밤)참 風磬 2006.11.30 6131
3380 벽창호 風磬 2006.11.30 5995
3379 볼멘소리 風磬 2006.12.20 6966
3378 부랴부랴 風磬 2006.12.20 5122
3377 부럼 風磬 2006.12.20 7103
3376 부리나케 風磬 2006.12.20 7396
3375 부지깽이 風磬 2006.12.20 6500
3374 부질없다 風磬 2006.12.20 10492
3373 불티나다 風磬 2006.12.23 7487
3372 불현듯이 風磬 2006.12.23 7937
3371 불호령 風磬 2006.12.23 8820
3370 비지땀 風磬 2006.12.23 7233
3369 빈대떡 風磬 2006.12.23 7702
3368 사근사근하다 風磬 2006.12.26 7957
3367 사또 風磬 2006.12.26 702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