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11.10 06:48

이중피동의 쓸모

조회 수 76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이중피동의 쓸모

‘것이었던 것이었던 것이었다!’ 무성영화 시절 변사는 특유의 저 말투로 어떤 장면을 실감나게 강조했다. 저래야 영화의 맛이 살았다. 효과 만점. 모든 표현에는 그렇게 쓰는 이유가 있다.

신화처럼 완고하게 전해오는 명령이 있다. ‘이중피동을 피하라!’ 한 번으로 족한데 두 번이나 피동을 만들 필요가 없다는 것. 정말 그런가? 안 써도 되는데 굳이 쓰는 이유가 있지 않겠나. 설명을 못 할 뿐이지 쓸모없는 게 아니다.

흥미롭게도 옛말에는 진정한 이중피동, 즉 피동접사를 겹쳐 쓰는 말이 꽤 있다. 예를 들면, ‘닫히이다, 막히이다, 잊히이다, 눌리이다, 밟히우다, 잡히우다’. ‘닫히다, 막히다, 잊히다’ 등은 오래전부터 피동사로 쓰였다. 시간이 흘러 이 말이 피동사인지 아닌지 흐릿해지니 ‘이’나 ‘우’를 붙여 피동의 의미를 더 선명하게 했다. 낡은 옷을 기워 입듯, 말도 닳아서 애초의 쓸모가 흐릿해지면 뭔가를 덧댄다. 피동사만으로는 피동의 의미를 나타내기엔 약해 보이니 ‘지다’를 덧붙였다. 장례를 치르는 자식이 육개장을 목으로 넘기며 “이런데도 밥이 먹혀지는군”이라고 할 수 있잖은가. 벌어지는 일에 대한 불가항력이랄까, 거리감의 강조랄까. 아니면, 변명의 장치랄까.

‘시가 이렇게 쉽게 씌어지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윤동주), ‘나는 너에게 너는 나에게 잊혀지지 않는 하나의 눈짓이 되고 싶다’(김춘수), ‘한마디 변명도 못하고 잊혀져야 하는 건가요’(이용 ‘잊혀진 계절’). 익숙해져서 그런지 모르지만, ‘쉽게 쓰인 시, 잊어지지 않는 눈짓, 잊힌 계절’이면 참 어색하다.

사전이나 맞춤법 검사기의 구령에 맞춰 걷지 말자. 나의 감각을 맞춤하게 담을 수만 있다면 어떤 언어도 가능하다. 삶이 그렇듯.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3958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614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1065
3388 매무시 風磬 2006.11.26 7856
3387 멍텅구리 風磬 2006.11.26 7063
3386 메밀국수(모밀국수) 風磬 2006.11.26 9095
3385 무꾸리 風磬 2006.11.26 7978
3384 미어지다 風磬 2006.11.26 8250
3383 미주알고주알 風磬 2006.11.26 7435
3382 바늘방석 風磬 2006.11.26 7487
3381 (밤)참 風磬 2006.11.30 6110
3380 벽창호 風磬 2006.11.30 5955
3379 볼멘소리 風磬 2006.12.20 6927
3378 부랴부랴 風磬 2006.12.20 5090
3377 부럼 風磬 2006.12.20 7074
3376 부리나케 風磬 2006.12.20 7380
3375 부지깽이 風磬 2006.12.20 6470
3374 부질없다 風磬 2006.12.20 10464
3373 불티나다 風磬 2006.12.23 7455
3372 불현듯이 風磬 2006.12.23 7905
3371 불호령 風磬 2006.12.23 8794
3370 비지땀 風磬 2006.12.23 7197
3369 빈대떡 風磬 2006.12.23 7659
3368 사근사근하다 風磬 2006.12.26 7934
3367 사또 風磬 2006.12.26 698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