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83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국물도 없다

사람들은 과장하기를 좋아한다. ‘~도 없다’라는 말은 어떤 것의 부재를 과장하는 표현이다. 예컨대, 바라는 걸 안 하면 앞으로 받을 몫이 전혀 없다고 겁줄 때 쓰는 ‘국물도 없다’를 보자. 나는 어머니한테 ‘국보’라 불릴 만큼 국을 좋아했다. 줄기마저 흐물흐물해지게 끓인 미역국 국물을 유독 좋아했다. 국물을 후루룩 마시면서 깊고 그윽한 갯내를 함께 삼켰다. 그런데 ‘국물도 없다’고 하면서 국물을 가장 하잘것없는 음식 취급을 하니 이상했다. 여하튼 가장 하품인 국물도 없으니 굶으라!

‘~밖에 없다’는 말에도 과장이 섞여 있다. ‘너밖에 없다’고 하면 ‘너’ 말고는 아무도 없으며, ‘천 원밖에 없다’는 ‘천 원’ 외에 더 가진 돈이 없다는 뜻이다. 그야말로 바깥에는 아무것도 없다. 그나마 안쪽에 뭐라도 있으니 다행이다. ‘~도 없다’는 그것마저 없어서 더 극단적이다. ‘믿을 사람이 너 하나밖에 없다’고 하면 갑자기 둘이 한통속이 되지만 ‘믿을 사람이 하나도 없다’고 하면 ‘듣는 나는 뭐지?’ 묻게 된다. ‘하나밖에 없다’는 ‘유일함(1)’을, ‘하나도 없다’는 ‘전무(0)’를 뜻하니 숫자로는 한 끗 차이지만 말맛은 하늘과 땅 차이다.

고향 마을엔 사람 그림자도 없는데 과잉도시 서울은 발 디딜 틈도 없이 비좁고 아무것도 없는 민중들은 죽을 짬도 없이 바쁘다. 쥐뿔도 없는 사람들이 눈코 뜰 새도 없이 일해서 집 한 칸 사는 건 이제 꿈도 못 꾼다. 사람들은 집도 절도 없는 사람을 위한 정부를 원한다. 어림 반 푼어치도 없는 ‘소설’을 쓰는 게 아니다. 과장된 진실이다.



그림책 읽어 주자

흔히 문자 없는 사회를 미개한 사회로 취급한다. 문자생활은 현대인에게 필수다. 문자를 통해 대부분의 지식을 알게 된다. 사건은 문자로 기록되어 시공간을 뛰어넘어 전달된다.

하지만 문자 사회에서도 문자에 기대지 않은 영역이 얼마든지 있다. 말소리, 몸짓, 노래, 구전, 그림 같은 것들이다. 개인도 태어나서 몇 년 동안 ‘문자 없는 시기’를 보낸다. 부모들은 아이가 빨리 글을 익혀 책을 줄줄 읽기 바라겠지만, 얻는 만큼 잃는 게 많다. 문자를 익히게 되면 세상에 대한 감각과 상상력이 눈에 띄게 줄어든다. 말소리에는 높낮이, 길고 짧음, 빠르기 등 문자가 담을 수 없는 요소들이 녹아 있다. 이런 요소들은 소통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문자는 말소리의 풍부한 차이를 숨기고 추상화하여 압축 건조시킨다. 문자는 말소리에 비해 진부하다.

아이에게 문자 없는 시기를 충분히 즐기게 해주는 특효약이 그림책이다. 그림책은 보는 게 아니라 소리 내어 읽어 주는 책이다. 그림 위에 부모의 목소리가 얹힐 때 아이 머릿속에 이야기 하나가 펼쳐진다. 엉뚱한 생각과 질문이 많아진다. 읽어 주는 사람의 고유한 억양, 높낮이, 사투리, 멈칫거림, 헛기침, 훌쩍거림, 다시 읽기, 덧붙이기 등 갖가지 독특함과 실수와 변주가 행해진다.

동영상은 화면의 흐름을 놓치지 않기 위해 딴생각을 하면 안 된다. 그림책은 그림과 그림 사이에 간격이 있어서 이 간격을 이야기와 상상력으로 채운다. ‘딴 생각(상상)’을 해야 한다. 목소리에는 고정된 그림을 살아 꿈틀거리는 사건으로 만드는 힘이 있다. 그림책 읽어 주기가 좋다.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3825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482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199701
3256 ‘돌미’와 ‘살미’ 바람의종 2008.02.01 7894
3255 ‘때식을 번지다’와 ‘재구를 치다’ 바람의종 2010.05.07 13217
3254 ‘뛰다’와 ‘달리다’ 바람의종 2007.11.05 5388
3253 ‘렷다’ 바람의종 2010.04.27 9495
3252 ‘로서’와 ‘로써’ 바람의종 2009.12.04 9872
3251 ‘막하다’ 바람의종 2008.01.06 7977
3250 ‘말밭’을 가꾸자 바람의종 2011.11.11 8784
3249 ‘맞다’와 ‘맞는다’, 이름 바꾸기 風文 2022.09.11 710
3248 ‘머스트 해브’와 ‘워너비’ 風文 2024.03.27 980
3247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713
3246 ‘몇 일’이 아니고 ‘며칠’인 이유 바람의종 2009.12.01 10697
3245 ‘모라’와 마을 바람의종 2008.02.10 7714
3244 ‘물멀기’와 ‘싸다’ 바람의종 2010.05.17 12839
3243 ‘바드민톤’과 ‘아수한 이별’ 바람의종 2010.04.23 11759
3242 ‘부끄부끄’ ‘쓰담쓰담’ 風文 2023.06.02 985
3241 ‘부럽다’의 방언형 바람의종 2007.10.11 8767
3240 ‘붇다’와 ‘붓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1.14 11771
3239 ‘빼또칼’과 ‘총대가정’ 바람의종 2010.06.08 12471
3238 ‘사흘’ 사태, 그래서 어쩌라고 風文 2022.08.21 1124
3237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869
3236 ‘수놈’과 ‘숫놈’ 風文 2024.05.08 111
3235 ‘시끄러워!’, 직연 風文 2022.10.25 105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