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02.11 15:55

되묻기도 답변?

조회 수 135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되묻기도 답변?

나라의 안보를 책임진 장관의 대답이 눈길을 끈다. 국내에 추가된 무기가 있었느냐는 질문에 “그런 게 있었습니까?”라고 남 말 하듯이 대답한 ‘사건’이다. 이것을 반어법이라고들 일컫고 있는데, 반어법은 반대말을 이용해 원래의 의미를 강조하는 수사법이다. 느려터진 사람한테 “참 빠르기도 하다”고 비아냥대는 경우 따위를 말한다. 위의 답변은 반어법이 아니라 그냥 ‘반문’이다.

반문은 질문 자체가 이해되지 않거나 타당성이 없을 때 질문자에게 그 질문을 돌려주는, 즉 반품하는 행위다. 또는 질문의 전제에 동의할 수 없는 부분이 있음을 드러내는 진술 방법이다. 이 문답은 공적인 책임자들 사이의 것이기 때문에 그 내용의 진위는 대단히 ‘의무적’이어야 한다. 공적으로 무관한 사람이 물었다면 아무렇게나 대답해도 그만이고, 기자의 질문에 적당히 발뺌하는 답변이었다면 그 진위가 그리 ‘의무적’이지 않을 수도 있다.

대부분의 남성들이 군에 입대하면 민간 사회의 말을 쓰지 말라는 말을 귀가 아프게 듣는다. 그만큼 민간 사회에서는 진위가 불분명하고 사람에 따라 달리 해석되는 표현이 자주 사용되는 데 반해서 군대에서는 안전과 생명에 관한 문제를 일상적으로 접하는 만큼 매사에 명확하고 진위가 분명히 드러나는 말을 써야 한다는 의미를 강조한 것이라고 본다.

더 나아가 이 답변을 문제 삼자 “뉘앙스 차이였다”고 말한 것은 이 사태의 심각함을 보여준다. 어찌 군사 전문가가 안보 관련 발언을 하면서 ‘뉘앙스’에 좌우되는 표현을 했다는 말인가. 뉘앙스는 느낌과 기분에 따라 달리 해석되는 ‘함축적 의미’이다. 이런 말은 국가의 안보 책임자의 것으로는 적절하지 않다. 모든 공직자의 답변에는 그 위상에 따른 책임이 반드시 필요하다.

김하수/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63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14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119
3172 소태와 소도 바람의종 2008.03.27 7899
3171 짝벗 사이 바람의종 2008.03.28 7492
3170 바쁘다 바람의종 2008.03.28 5718
3169 자주꽃방망이 바람의종 2008.03.29 7960
3168 짝벗 일컫기 바람의종 2008.03.29 7036
3167 도라산역 바람의종 2008.03.29 5747
3166 방조하다 바람의종 2008.03.30 7319
3165 무궁화 바람의종 2008.03.30 5891
3164 명량·울돌목 바람의종 2008.03.30 7058
3163 오누이 바람의종 2008.03.31 7942
3162 직통생 바람의종 2008.03.31 7168
3161 가야와 가라홀 바람의종 2008.04.01 7098
3160 서방과 사위 바람의종 2008.04.01 7990
3159 마라초 바람의종 2008.04.01 6228
3158 맥문동 바람의종 2008.04.02 6364
3157 무너미·목넘이 바람의종 2008.04.03 6769
3156 선과 청혼 바람의종 2008.04.03 6608
3155 거꿀반명제 바람의종 2008.04.04 6196
3154 한내와 가린내 바람의종 2008.04.05 9321
3153 해오라기난초 바람의종 2008.04.05 8435
3152 이름 부르기 바람의종 2008.04.06 7309
3151 안겨오다 바람의종 2008.04.06 725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57 Next
/ 157